An Efficient VEB Beats Detection Algorithm Using the QRS Width and RR Interval Pattern in the ECG Signals

ECG신호의 QRS 폭과 RR Interval의 패턴을 이용한 효율적인 VEB 비트 검출 알고리듬

  • Received : 2011.03.16
  • Accepted : 2011.04.30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In recent days, the demand for the remote ECG monitoring system has been increasing and the autom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is becoming quite of a concern. Automatic detection of the abnormal ECG beats must be a necessity for the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these real time remote ECG monitoring system. From these viewpoi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utomatic detection algorithm for the abnormal ECG beats using QRS width and RR interval patterns. In the previous research, many efforts have been done to classify the ECG beats into detailed categories. But, these approaches have disadvantages such that they produce lots of misclassification errors and variabilities in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Also, they require large amount of training data for the accurate classification and heavy computation during the classification process. But, we think that the detection of abnormality from the ECG beats is more important that the detailed classification for the automatic ECG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we tried to detect the VEB which is most frequently occurring among the abnormal ECG beats and we could achieve satisfactory detection performance when applied the proposed algorithm to the MIT/BIH database.

최근 들어 실시간 원격 ECG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으며 가입자의 증가와 더불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비정상적인 ECG 비트의 자동검출은 이러한 실시간 원격 ECG모니터링 시스템의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QRS 폭(width)과 RR interval의 패턴을 이용한 효율적인 비정상적 ECG 비트 자동검출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기존에는 주로 ECG 비트의 상세한 분류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분류 오류가 많고 주변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분류성능의 변동성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정확한 ECG 비트 분류를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훈련데이터를 필요로 하며 특히 분류시에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러나 자동화된 원격 ECG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서는 ECG 비트의 세세한 분류 보다는 비트의 정상여부판단이 더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ECG 신호의 비정상적인 비트중에서도 가장 빈번이 발생하는 VEBs(Ventricular ectopic beats) 비트의 검출을 시도하였고 제안된 알고리듬을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 결과 만족스러운 VEBs 바트 검출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Edward H. Shortliffe, Leslie E. Perreault, et al., Medical Informatics: Computer Applications in Health Care and Biomedicine. 2nd ed. New York: Springer; 2001.
  2. T. K. Kim and Y. K. Kim,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edical Telemetry Systems Using Wireless Public Data Network Medical Telemetry System", J.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Vol. 6, No.4, pp. 153-163, 2000.
  3. D. K. Jung, K. N. Kim, G. R. Kim, D. H. Shim, M. H. Kim, B. C. Choi, and D. J. Suh. "Biosignal Monitoring System for Mobile Telemedicine",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Healthcare, Vol. 4, No.3,pp. 173-183, 2006.
  4. 홍주현, 김남진, 차은종, 이태수, "u-Healthcare를 위한 PDA기반의 우선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대한의료정보학회지,제12권 제2호,pp. 153-159, 2006년 12월
  5. P. E. Ross, "Managing Care Through the Air", IEEE Spectrum, pp.l4-19, Dec. 2004.
  6. J. Lee, S. Yun, J. Park, K. Jang, S. Woo, J. Jin, H. Jeon, H. Park, J. Cho, and Y. Kim, "PDA기반 심전도 원격 감시장치의 구현" 대한의료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123-126, 2007년.
  7. Y.H. Hu, S. Palreaddy and W.J. Tompkins, "A Patient-adaptable ECG Beat Classifier Using a Mixture of Experts Approach", IEEE Trans. Bio. Eng., Vol. 44, pp.891-899, 1997. https://doi.org/10.1109/10.623058
  8. O. Wieben, W.J. Tompkins and V.X. Afonso, "Classification of PVC with a fuzzy logic system", Proceedings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IEEE/EMBS pp.97-100, 1997.
  9. P. Chazal, M. O'Dwyer and R. B. Reilly, "Automatic Classification of Heart Beats Using ECG Morphology and Heartbeat 정상 Features", IEEE Trans. Bio. Eng., Vol. 51, pp. 1196-1206, 2004. https://doi.org/10.1109/TBME.2004.827359
  10. J. Pan and W.J. Tompkins, "A Real-Time QRS Detection Algorithm", IEEE Trans. Bio. Eng., Vol. 32, No.3, pp.230-236, Mar. 1985.
  11. 윤장혁, 정용주, "실시간 ECG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QRS검출 알고리듬의 개발",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153-163, 2010년 5월
  12. "MlT/BIH arrhythmia database-Tape directory and format specification", Document BMEC TR00, Mass. Inst. Technol., Cambridge,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