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Management Policy Tools Contingent on the Coastal Zoning Types

연안유형 특성에 적합한 지역연안관리 정책도구의 모색

  • 최성두 (한국해양대 해양행정학과) ;
  • 김영부 ((주)마린소프트 기술부설연구소)
  • Received : 2011.01.06
  • Accepted : 2011.03.2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nd developing the coastal management policy tool package contingent upon coastal community circumstance so that coastal regional government may enhance the efficiency of coastal administration and reestablish the coastal region master plan systematically. The 8 coastal policy tools of the already-tested U. S. coastal region government will be utilized as the new alternative on behalf of the Korean coastal regio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ts survey, these tools especially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tourism, disaster, restoration, and scenary coastal function types. Although this study is exploratory, it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as the basic survey results of the successive research and coastal region policy development in Korea.

본 연구는 연안지역정부의 연안관리지역계획 재수립 및 지역연안관리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지역연안유형 특성별로 적합한 연안관리정책도구의 조합방안을 모색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최근 2010년 연안관리법의 개정으로 '연안해역 용도별 기능구별 지정관리제'가 도입된 것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약 40여 년간 지역연안관리행정의 역사를 가진 미국의 선진 지역연안관리 정책도구들을 우리나라 연안해역 용도기능구에 적용하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특히 선진 연안관리도구의 활용성이 높은 용도기능구는 이용연안해역용도의 레저관광구, 특수연안해역용도의 재해관리구와 해양환경복원구, 보전연안해역용도의 경관보호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연안관리 개선방안은 향후 우리나라 지역연안관리 발전을 위한 기초적 탐색적 연구로서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성교(2003), 부산연안 수질환경 실태분석 및 해양환경 관리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pp. 21-53.
  2. 최성두(2007), 미국 연안관리정책의 주요 이슈와 거버넌스 평가, 국제해양문제연구, 제19권, pp. 237-262.
  3.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7), 연안관리 제도개선 연구, pp. 48-49.
  4. 해양수산부(2000a), 해양개발 기본계획 : 해양한국 21, pp. 39-41.
  5. 해양수산부(2000b), 연안통합관리계획, pp. 32-37.
  6. Beatley, Trimothy., David J. Brower, and Annak Schwab(2002), An Introduction to Coastal Zone Management, Island Press, pp. 206-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