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the Factors for Selecting Pyeongtaek Port for Importation of Cars

수입자동차의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분석

  • 최기영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1.08.01
  • Accepted : 2011.09.2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Pyeongtaek Port is becoming a specialized for importing or exporting cars. In 2010, Pyeongtaek Port became the major port, out of the 31 ports in Korea, for import and export of cars. Usage of this port was especially high for imported cars. In 2011, more than 1 million cars are expected to be imported or exported via Pyeongtaek Port. This research analyses the factors for selecting Pyeongtaek Port for imported cars and recommendations required to improve Pyeongtaek Port. To do thi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4 imported car companies that currently, July 2011, use Pyeongtaek Port and used AHP criteria to asses the importances of each facto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the use of Pyeongtaek Port is 'Port Location' followed by 'Port Cost', 'Port Facility', 'Port Service', 'Port Marketing' and 'Port Cargo Volume', in the order of importance. Also, imported car companies say that the factor in need for the most urgent improvement is 'Port Facilities' in Pyeongtaek Port.

평택항이 자동차 수출입 특화항으로 부상하고 있다. 울산항에 이어 줄곧 2위항 자리를 지켜 온 평택항이 2010년 우리나라 31개 항만 중 자동차 수출입 처리 실적 전국 1위항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수출입 자동차 물동량이 10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평택항은 특히 외국산 수입자동차들에게 인기가 높다. 2011년 상반기 수입물량이 2010년 한해 물량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수입자동차들이 평택항 선택 결정 요인과 평택항의 개선 필요 요인에 대한 관계자들의 견해를 묻고 그 중요도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2011년 7월 현재 평택항을 이용하고 있는 14개 수입자동차 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AHP분석 방법을 통해 실시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국산 수입자동차들의 항만선택 시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항만입지'이며, 개선이 가장 시급한 요인은 '항만시설'로 분석됐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평택항만공사, 내부자료, 2011.
  2. 김학소, "우리나라 수출입 화주의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 , 1993, 6-33.
  3. 김진구.여기태.이종인, "국제해운항만 로지스틱스에 있어서 항만경쟁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 연구" , 제10권 제2호, 2002, 82-101.
  4. 노윤진.김승철, "평택항 경쟁력 분석을 통한 화물 유치방안 연구", "유통정보학회지" , 제10권 제4호, 2007, 5-26.
  5. 모수원, "국내항만의 효율성 결정요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4권 제4호, 2008, 349-361.
  6. 이충배, "경기화주들의 평택항에 대한 인식도와 발전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18집 제1호, 2002, 135-157.
  7. 장흥훈.이종규, "선.화주의 항만결정요인에 따른 광양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 Vol. 18, No. 3, 2008, 87-109.
  8. 최성희, "화주의 광양항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제24권 제4호, 2008, 199-217.
  9. 평택국제자동차부두(주), 내부자료. 2011.
  10. 평택항발전협의회, "평택항 종합가이드" , 2011.
  11. 한철환, "정기선 선사의 기항지 선택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2005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5, 1-14.
  12. Malchow, M. B. and Kanafani. A. "A Disaggregate Analysis of Port Sele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2004, 317-337.
  13. Saaty, T. L., "Decision Making for Leaders," RWS Publications, 1995, 73.
  14. Tongzon, J. L., "Port Choice and Freight Forward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2009, 186-195.
  15. http://www.kaida.co.kr(한국수입자동차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