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policy of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operation between Japan & the EU - FP & EUREKA

일본과 EU와의 국제기술협력 정책에 관한 연구 -FP과 EUREKA 참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김진숙 (남서울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Received : 2010.12.30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e economy of the EU left behind the U. S. economy in many different aspects and the gap is widening. One major reason that promoted the EU's leading position i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advancing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refor secures the EU's leading position through a high level of competitiveness. The role as a powerhouse of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nurtured by a systematic attempt of the EU commission to stimulate international cooperation. Although the EU is focussing its efforts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between EU members states, nonmembers, namely Korea, can benefit from this policy as well and generate win-win outcomes for both cooperating partners. The paper aims in the first chapter to introduce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operations in general. The second chapter identifies the political approach of both countries towards technological cooperations. The third chapter introduces the research method. In the forth chapter is analyzed a case study of two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Japan and the EU. Finally, implications for Korean policy makers are given.

EU는 세계에서 미국을 능가하는 경제력을 가지기 위해서 여러 가지 측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은 산업기술발전을 통해서 가능하고 또한 이것은 산업기술의 경쟁력을 통한 고용창출 등이 가능하다고 인지하고 있다. 이에 EU집행위에서는 국제기술협력 정책 추진에서 EU내 회원국 간의 국제기술협력이 아닌 비회원국, 즉 한국 등과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기술협력이 적은 EU권에 대한 일본의 국제기술협력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 정부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제 2 장에서는 일본 및 EU의 국제기술협력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을 살펴보고 이어서 제 3장에서는 연구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일본이 EU와의 국제기술협력을 추진한 성공사례를 발굴하여서 참여형태, 예산액 및 참여기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우리나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숙, "한.EU간 전략적 국제기술협력 증진방안 및 정책적 제언", 산업자원부(지식경제부), 2005.
  2. 김진숙, "EU의 FP과 EUREKA 국제기술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pp. 736-745,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2.736
  3. 김진숙, "기계공업분야 합작투자 동기 및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 독일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3호, pp. 1204-1212,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3.1204
  4.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협력국 업무편람", 과학기술부. 2007
  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과학기술 국제화 추진 전략", 2001.
  6. 권용수 외, "우리나라 과학기술 국제화 추진실태 분석 및 개선과제", 국제과학기수협력재단. 2003.
  7. 신성철 외, "선진국과의 효과적인 과학기술 국제협력 방안", 한림연구보고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7.
  8. 염재호, "일본 과학기술개발의 국제네트워크화 현황과 전망",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1997.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적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정부 R&D 현황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8.
  10. 한국산업기술평가원, "국가연구개발 혁신주체 간 연구협력 현황과 활성화 방안", R&D Focus,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7.
  11.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국내기업의 해외 연구개발 활동 현황", 2008.
  12. 한.이 산업연구개발재단, 유레카 국제공동연구개발 세미나, Korea-Israel IT Brokerge Event, 산업자원부, 이스라엘 산업통상부, 2005. 11.23.
  13. A Worldwide Vision for European Research, EU 집행위. 2005.
  14. Chesbrough, H.W.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Boston: Havrard Business School Press, 2006.
  15. Dodgsonb, M., "Technological collaboration in industry: Strategy, policy, and internationalization in innovation". New York, Routledge, 1993.
  16. Eureka Statistic, European Commision, Brussel, 2008.
  17. European Commission, "Building Knowledge Europe: Framework Programme", Brussel, 2007.
  18. Katz, J.S.: Martin, B.R.,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 1-18, 1997. https://doi.org/10.1016/S0048-7333(96)00917-1
  19. Lemmens, Charmianne:, "Innovation in Technology Alliance Networds", Cheltenham: Edward Elgar Publishing, 2004.
  20.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2005.
  21. Teramoto, Y., M., M. Kanada and K. Furukawa, "Network Organization for Inter-Firm Research and Development: Japanese Firm' Experience", Meiji Gakuin University.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