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tective Effects of Kamdootang on Accumulation of Cadmium in Rats

랫트의 신장 내 카드뮴 축적에 대한 감두탕(甘豆湯)의 방어 효과

  • Kim, Pom-Ho (Department of Herbal Resources,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김범호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Received : 2011.03.27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o find out the protective effects of Kamdootang against accumulation of cadmium in rats, the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was administered with cadmium alone and the other group administered with cadmium mixed with Kamdootang. Each group has been orally administered with different doses of cadmium such as 1.7 ${\mu}g/g/day$, 3.4 ${\mu}g/g/day$ and 6.8 ${\mu}g/g/day$, respectively, for 1 to 8 weeks. As a results, body weight gained has a tendency to decrease more in the Kamdootang treated groups and non-treat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Cadmium accumulation in kidne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amdootang treated group and Kamdootang non-treated group. As the experiment period is longer and longer, both groups have got more significantly cadmium accumulation amounts. The kidney system was researched through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that Multiple foci of necrosis, hemorrhagic necrosis in glomeruli and cloudy swelling of tubules in kamdootang non-treated group. but tissue lesion of kidney was showed less kamdootang treated group than Kamdootang non-treated group. As remarked above results, when dose low concentrated Cd in rat, Kamdootang was reduced accumulation of Cd. in kidney.

카드뮴의 신장 내 축적에 대한 감두탕 투여의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흰쥐에 1.7 ${\mu}g/g/day$, 3.4 ${\mu}g/g/day$ 및 6.8 ${\mu}g/g/day$의 카드뮴을 투여한 군과 위의 농도별 카드뮴과 감두탕을 혼합투여한 군과의 체중 변화, 신장의 카드뮴 축적량 및 신장조직의 병리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각 실험군의 체중은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감두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장 중의 카드뮴 축적량은 모든 군에서 1주, 2주는 감두탕을 투여한 군이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4주, 8주에서는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이 감두탕을 투여한 군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신장조직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결과, 감두탕을 투여하지 않은 군은 사구체의 출혈성 괴사, 뇨세관의 종창, 상피세포의 탈락 및 뇨세관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감두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조직병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감두탕은 저농도의 카드뮴이 생체 내에 투여될 때 흰쥐의 신장 내 축적되는 카드뮴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환경부. 세계보건기구(WHO) 먹는 물 수질관리지침서. p.153-156, 1998.
  2. Hammond PB, Foulkes EC. Metal ion toxicity in man and animals. In; H Siegel(ed), metal ions in biological systems. Vol. 20, Marcel Dekker, New York, p.177, 1986.
  3. Sendelbach LE, Klaassen CD. Kidney synthesizes less metallothionein than liver in response to cadmium chloride and cadmium. metallothionein. Toxicol Appl Pharmacol, 1988:92:95-102. https://doi.org/10.1016/0041-008X(88)90231-1
  4. Dudley RE, Svoboda DJ, Klaassen CD. Acute exposure to cadmium causes severe liver injury in rat. Toxicol Appl Pharmacol, 1982:65:30.
  5. 곽영규. 카드뮴의 신경독성 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0(3), p. 45-55, 1995.
  6. 이종화, 장봉기, 박종안, 박종영, 김완종, 우기민. 카드뮴의 중추신경계 독성유발 기전. 환경독성학회지, 19(3), p.279-286, 2004
  7. Ando M, Matsui S, Jinno H, Takeda M. Urinary excretion of cyclic AMP in cadmium-intoxicated rats. J Toxicol Environ Health, 1989:27:307-315. https://doi.org/10.1080/15287398909531302
  8. Hamer DH. Metallothionein. Ann Rev Biochem, 1986;55:913-951. https://doi.org/10.1146/annurev.bi.55.070186.004405
  9. Prasada Rao RVV, Jordan SA, Bhatnagar MK. Combined nephrotoxicity of methylmercury lead and cadmium in pekin ducks, metallothionein, metal interactions, and histopathology. J Toxicol Environ Health, 1989;26:327-348. https://doi.org/10.1080/15287398909531257
  10. 이영구. 카드뮴 폭로 후 고환, 신장 및 간장 내 카드뮴 축적량과 조직손상의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3
  11. 박관규. 카드뮴 신 손상에 관한 전자현 미경적 연구. 대한신장학회지, 12(1), p.20-26, 1993.
  12. 한동근. 카드뮴이 백서의 정소조직과 정자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토코페롤의 독성완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13. 정영희, 한성희, 신미경. 카드뮴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열수 추출액의 해독작용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7(4), p.456-464, 2001.
  14. 한성희, 신미경, 정영희. 오미자 추출물이 카드뮴을 급여한 흰쥐의대사와 신장 내 카드뮴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6), p.1102-1106, 2002. https://doi.org/10.3746/jkfn.2002.31.6.1102
  15. 이정호, 유일수, 김신기, 이기남, 정우영, 한두석, 백승화. 천화분의 카드뮴에 대한 독성억제효과(III). 생약학회지, 32(1), p.15-21, 2001.
  16. 조국영, 최희진, 손준호, 배두경, 우희섭, 안봉전, 배만종, 최청. 감잎(Diospyros kaki folium)으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화합물의 카드뮴 제거효과. 한국농화학회지, 43(3), p.213-217, 2000.
  17. 임종필, 서은실. 육미지황탕이 카드뮴 중독된 흰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약학회지. 30(3), p.250, 1999.
  18. 김성조, 백승화, 허종욱, 김운성, 이주돈, 강경원, 박성혜, 한종현, 정성윤, 이승현. 결명자 첨가식이가 흰쥐의 체내 카드뮴 축적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2(6), p.554-565, 2002.
  19. 동의보감국역위원회 : 동의보감. 남산당. 1994.
  20.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p84, 1993.
  21. Ozeki T, Tokawa Y, Ogasawara T, Sato K, Kan M. The effects of hydrocortisone and glycyrrhizine on the enzyme releases of arylsulfatase and hyaluronidase from lysosomes of liver. Experientia. 1978;34(3):387-388. https://doi.org/10.1007/BF01923052
  22. Kakegawa H, Matsumoto H, Satoh T. Inhibitory effects of some natural products on the activation of hyaluronidase and their anti-allergic actions. Chem. Pharm. Bull. (Tokyo)., 1992;40(6):1439-1442. https://doi.org/10.1248/cpb.40.1439
  23. 이선동. 흰쥐에서 아급성 납중독에 대한 감두탕의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3.
  24. 정세훈. 감두탕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랫드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5. 한상훈. 감두탕 약침액이 항암 효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26.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2004.
  27. 土屋 健三卽. 重金屬毒性. 醫齒藥出版株式會社, 東京, p.285-301, 1983
  28. 노정해, 한찬규, 성기승, 이남형. 돼지고기 급여가 흰쥐의 체내에 중독된 카드뮴의 해독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4), p.373-382, 2005.
  29. 최성인, 이정희, 이서래. 동물실험에 의한 녹차음료의 카드뮴 및 납 제거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6(6), p.745-749, 1994.
  30. Cantilena LR, Klassen CD. Decreased effectiveness of chelation theraphy with after acute cadmium poisoning. Toxicol. Appl. Pharmacol. 1982;63:173-180. https://doi.org/10.1016/0041-008X(82)90038-2
  31. Onosaka S, Tanaka K, Cherian MG. Effects of cadmium and zinc on tissue of metallothionein. Environ. Health. Perspect. 1984;54:67-72. https://doi.org/10.1289/ehp.845467
  32. Nishizumi M.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cadmium nephrotoxicity in the rat. Arch Environ Health, 1972;24:215-225. https://doi.org/10.1080/00039896.1972.10666072
  33. 장종식, 권오덕. 홍화씨분말이 카드뮴 중독에 미치는 병리조직학적 관찰. 수의임상학회지, 18(2), p.116-12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