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Job Selection, Major-Job Match and Wage Level of College Graduates

대학 졸업생의 직업선택과 임금 수준

  • 박재민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0.05.28
  • Accepted : 2011.03.1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wage level from a viewpoint of major-job match as part of an analysis on the skill mismatch problem in 4-year college graduates. The empirical analysis explicitly incorporate the sample selection bias as an econometric problem not only suggested but merely introduced in the earlier studies. This study also set up a major-job match variable, which was usually handled as a binary variable for analytical convenience, as a polychotomous choice variable in selection equation as provided by the survey. In particular, it considered multi-cohort survey on graduates of the years 1982, 1992, and 2002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wage premium of a major-job match was identified. This result was consistent after the consideration of a sample selection bias and also after modeling the major-job match variable as polychotomously selective. Through an analysis classified by the major, this study identified a relatively high wage premium among Social Science,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lection among these majors. Also, by assessing cohort effects this study found that the skill mismatch had rapidly progressed in 1992, while difference between 1992 and 2002 cohorts are insignificant. The analysis suggests that wage level is better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both sample selection and major-job match, and regardless of model specification the major-job match affects wage strongly.

본 논문은 대학 졸업생의 숙련 불일치 문제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 임금으로 대표되는 노동시장성과에 대해 전공-직업 일치의 시각에서 접근한 것이다. 실증 분석에 있어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자주 제기되었던 표본선택편의 문제를 명시적으로 분석 과정에 반영하였고, 분석의 편의상 이항변수로 취급되었던 전공직업일치 변수도 설문조사가 제공한 다항선택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1982년, 1992년, 2002년 세 코호트에 대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도 고려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공일치 직업선택에 따른 표본선택편의와 전공직업일치의 임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전공직업일치 정도와 비례해 임금프리미엄도 체증하고, 특히 전공계열별 분석을 통해 사회 계열, 공학 계열, 자연 계열에서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공 계열별로 선택편의의 영향에 차이가 있음도 볼 수 있었다. 또 1982년, 1992년, 2002년을 비교하면 1992년에 전공직업일치 경향은 급격히 낮아졌고 1992년과 2002년의 차이는 오히려 크지 않아 이 같은 숙련 불일치 현상이 상당히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온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