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Sediment Reduction Effect by Installing Check Dams at Domestic Multi-Purpose Dams

국내 다목적 댐의 저사댐 설치에 따른 퇴사저감 효과 분석

  • 최계운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
  • 김광남 ((재)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 ;
  • 한만신 ((재)국제도시물정보과학연구원) ;
  • 윤용진 ((주)도화엔지니어링 수자원부)
  • Received : 2011.05.04
  • Accepted : 2011.05.3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In this study sediments reduction effects on dam have been analyzed in the case of check dam installation in the upstream. Analyzed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27 points conducted for 10 multi-purposes dam, which is target of this study.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result, Sediment reduction effect by installing check dam has shown inclination which increase as area ratio rise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sediment reduction effect was greatest in Geum-river point at Daecheong-dam. The life-time is estimated to increases about 60% by installing check dams. When Area ratio increases, it was deduc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at rise Sediment Reduction Effect by installing check dam.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management and design plans like the dam's site or priority for placing. Furthermore, it would be able to construct an efficient sand depositing dam if complementary is provided by being considered catchment area and lucrative property.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내 퇴사저감을 위하여 댐 상류에 저사댐을 설치하여 퇴적토를 포착하는 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 10개 다목적댐 유역을 대상으로 저사댐을 설치할 경우의 퇴사 저감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 27개 설치지점의 퇴사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 다목적 댐 중 대청댐유역의 본류인 금강 지점의 저사댐 설치시 퇴사 저감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저사댐 설치에 따른 수명연장효과는 미설치시 수명보다 약 60%가 연장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저사댐 설치로 인한 퇴사 저감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역면적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유역면적비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저사댐 도입시 기대 퇴사저감 효과 산정이나 설치위치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5) 댐설계기준, 건설교통부.
  2. 건설부 (1983) 82 섬진강댐 저수지 퇴사량 조사 및 수몰지 경계 표석 설치 보고서, 건설부.
  3. 건설부 (1992) 댐 설계를 위한 유역단위 비유사량 조사 연구, 건설부.
  4. 김진택, 박승우 (1993) 관개용 저수지의 퇴사량과 포착효율의 추정, 한국수문학회지, 제26권, 제3호, pp. 63-74.
  5. 서승덕, 박흥익, 천만복, 윤경덕 (1988) 유역의 지상적 요인과 저수지 비퇴사량과의 관계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제30권, 제4호, pp. 45-61.
  6. 유시창, 민병형 (1975) 저수지 퇴사에 관한 연구: 진양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농공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46-53.
  7. 윤용남 (1981) 관개용 저수지의 연평균 퇴사량과 저수용량 감소율의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권, 제1호, pp. 69-76.
  8. 한국수자원공사 (2002) 2001 합천댐 퇴사량 조사용역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9. 한국수자원공사 (2002) 주암(본)댐 퇴사량 조사용역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0. 한국수자원공사 (2003) 2003 주암조절지댐 퇴사량 조사용역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1. 한국수자원공사 (2004) 남강댐 퇴사량 조사용역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2. 한국수자원공사 (2004) 퇴사량 저감을 위한 저사댐 설치방안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13. 한국수자원공사 (2006) 2005 대청댐 퇴사량조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4. 한국수자원공사 (2006) 소양강 다목적댐 퇴사량조사(제3차)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5. 한국수자원공사 (2008) 2007 안동댐 퇴사량조사(3차)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6. 한국수자원공사 (2008) 2007 임하댐 퇴사량조사(2차)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7. 한국수자원공사 (2008) 2007 충주댐 퇴사량조사(2차)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18. 한국수자원공사 (2009) 다목적댐 댐 운영 실무 편람, 한국수자원공사.
  19. Brune, G.N. (1953) Trap efficiency of reservoir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34, No. 3, pp. 407-418. https://doi.org/10.1029/TR034i003p00407
  20. Churchill, M.A. (1948) Discussion of analysis and use of reservoir sedimentation data, by L. C. Gottschalk, Federal Inter-Agency Sedimentation Conference, Washington, D. C., pp. 139-140.
  21. Hembree, C.H., Colby, B.R., Swenson, H.A., Davis, J.H. (1952) Sedimentation and Chemical Quality of Water in the Powder River Drainage Basin, Wyoming and Montana, U. S. Geological Survey. Washington. D. C.
  22. International Commission on Large Dams (1989) Sedimentation control of reservoir guidelines, ICOLD, Bulletin, No. 67.
  23. Morris, G.L. and Fan, J. (1998) Reservoir sedimentation Hand book, McGrow-Hill, New York.
  24. 江崎一博 (1966) 貯水池の堆砂に闞する硏究, 土木硏究所報告, 第29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