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Using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과부하 사각형 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4.2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Energy loss at manholes, often exceeding friction loss of pipes under surcharged flow,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inundation in urban are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head losses at manholes, especially in case of surcharged flow. The stream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head loss coefficients were estimated by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model, FLUENT 6.3,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in this study. The CFD model was carefully assessed by comparing simulated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one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good agreement between simulation model and experiment. The CFD model was proved to be capable of estimating the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manholes. The head loss coefficients with variation of the ratio of manhole width(B) to inflow pipe diameter(d) and variation of the drop height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with a straight-path through were calculated using FLUENT 6.3. As the ratio of B/d increases, head loss coefficient increases. The depth and head loss coefficient at manhole were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drop height was more than 5cm. Therefore, the CFD model(Fluent 6.3) might be used as a tool to simulate the water depth, energy losses, and velocity distribution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도시 우수 배수 시스템에서 우수 관거는 개수로 흐름 상태로 가정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일반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부하흐름에서 에너지 손실은 관거의 배수능력을 저하시켜 도심지역의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과부하 사각형 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과부하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을 모의하고 맨홀 내 손실수두의 변화를 계산하여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실험결과와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여 사각형 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에 FLUENT 6.3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맨홀 폭(B)과 연결관경(d)의 비(B/d)에 따른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B/d가 증가할수록 사각형 합류 맨홀에서의 손실계수는 증가하였다. 중간 단차 맨홀에서 단차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를 산정하였다. 단차가 5 cm이상 증가하면 맨홀 내 수심과 손실계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므로 중간 맨홀에서의 적정 단차는 5 cm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수 관거 시스템의 여러 형태의 사각형 맨홀에서의 흐름의 변화 및 손실계수를 예측할 때, Fluent 6.3 모형은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한, 오정선, 서일원 (2003)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상류 및 여수로 수리현상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6권, 제5호, pp. 761-776.
  2. 김정수, 송주일, 장석진, 윤세의 (2008) 과부하 원형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41권, 제3호, pp. 305-314.
  3. 김정수, 김형민, 윤세의, 이종태 (2009) 합류맨홀에서 FLUENT 모형의 적용성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651-2654.
  4. 김정수, 최현수, 윤세의 (2010a) 과부하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43권, 제5호, pp. 445-453.
  5. 김정수, 최현수, 김형민, 윤세의 (2010b) FLUENT 모형을 이용한 합류 맨홀에서의 흐름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649-653.
  6. 환경부(2005) 하수도시설기준.
  7. Chanwit, S. and Ian, G. (2005) Simulation of Energy Loss due to Changes in Pipe Direction Across a Manhole. 10th National Convention on Civil Engineering, Thailand, 2. pp. 5-9.
  8. Fluent Inc. (2005) Fluent 6.3 User's Guide. Fluent Inc
  9. Johnston, A.J. and Volker, R.E. (1990) Head Losses at Junction Box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6, No. 3, pp. 326-341.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0)116:3(326)
  10. Marsalek, J. (1984) Head Losses at Sewer Junction Manhol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0, No. 8, pp. 1150-1154.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4)110:8(1150)
  11. Pedersen, B. F. and Mark, O. (1990) Head Losses in Storm Sewer Manholes : Submerged Jet Theory.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6, No. 11, pp. 1317-1328.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0)116:11(1317)
  12. Rodi, W. (1993) Turbulence Models and Their Application in Hydraulics, Balkema, Rotterdam, Netherlands.
  13. Sangster, W. M., Wood, H. W., Smerden, E. T. and Bossy, H. G. (1958) Pressure Changes at Storm Drain Junctions.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Bull. No. 41.
  14. Zhao, C. H., Zhu, D. Z., and Rajarattnam, N. (2006) Experimental Study of Surcharged Flow at Combining Sewer Junc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2, No. 12, pp. 1259-1271.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6)132:12(1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