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Burial Environments on Excavated Ceramics

매장환경이 출토 토기에 미치는 영향

  • Jang, Sung-Yo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Nam, Byeong-Jik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Dae-Woo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u, Jae-Eu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남병직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박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유재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Received : 2011.09.29
  • Accepted : 2011.11.21
  • Published : 2011.12.2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potential damages and conservation methods for the ceramics (without glaze) by examin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effects from the burial environments. For this study, pottery samples excavated from Daejeon Hakha, Asan Eumbong, Hwasung Sogeunsan and Kongju Haengbokdosi were examined with released ions and extraction through desalin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ion inflow into the ceramics was dependent upon the porosity and the absorption of ceramics. The high temperature fired ceramics (over $1,000^{\circ}C$) have low porosity and absorption, therefore almost no salt infiltration during the burial period. However, low temperature fired ceramics (under $800^{\circ}C$) have high porosity and absorption, and most of salts were removed during the desalination. The 40 to 60% of salts were removed in two days and 60 to 80% of slats were released in a week. Furthermore, fertilizer residues such as $K_2SO_4$, in soils were detected in the ceramci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buried soil affected ion infiltration into ceramics. Ceramics buried in sandy soil had relatively less ion contents from buried environments than those in clayey soil. Therefore, low temperature fired ceramics could do not only cleaning but also desalination if it is necessary, and the period could be decided to the condition of ceramics.

이 연구는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이 출토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학하, 아산 음봉, 화성 소근산 그리고 공주 행정중심복합도시 출토 토기와 토양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토기의 탈염을 통해 용출되는 이온의 화학종과 용출속도를 조사한 결과, 토기의 기공크기와 흡수율에 따라 토기 내 이온유입이 달라졌다. 즉 $1,000^{\circ}C$ 이상의 고온 소성된 토기는 기공이 작고 흡수율이 낮아 매장환경의 염 유입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800^{\circ}C$ 이하의 저온 소성된 토기는 기공이 크고 흡수율이 높아 다량의 염이 유입되어 증류수 탈염을 통해 염을 제거하였다. 탈염 2일 만에 40~60%의 염이 제거되었고 탈염 1주일 만에 60~80%의 염이 제거되었다. 또한 토양에 포화되어 있는 이온은 대부분 토기에도 동일한 비율로 존재하고 $K_2SO_4$와 같이 토양에 잔존하는 비료의 성분도 검출되었다. 그러나 모래 함량이 상당히 높은 사질 토양시료에서는 함유 이온량이 적어 토기에 유입되는 이온의 영향이 비교적 적었고 미사 및 점토 함량이 높은 토양에 매장되었던 토기는 유입되는 이온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저온소성된 토기에서는 다량 유입된 염에 의한 손상이 우려되므로 세척 이외의 탈염을 통한 염 제거가 필요하며 그 기간은 토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위광철, "출토 토기유물의 현장 수습방법에 관한 연구". 문화사학, 27, p1115-1127, (2007).
  2. 위광철, "출토 연질토기의 손상원인 및 강화처리에 관한 연구". 문화사학, 31, p25-37, (2009).
  3. 양필승, "토기 보존처리-연질토기를 중심으로-".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5, p53-62, (2000).
  4. 양필승, "도.토기의 보존처리". 보존과학기초연수교육 교재, p123-129, (2005).
  5. 장성윤, 남병직, 박대우, 강현미, 정용화, "태안 마도 출토 도자기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보존과학연구, 30, p190-202, (2009).
  6. Jackson, M., "Soil Chemical Analysis - Advanced course". Department of Soils, University of Wisconsin, (1969).
  7. White, G., Dixon, J., "Soil Mineralogy Laboratory Manual". 9th Ed., Department of Crop and Soil Sciences, Texas A&M University, (2003).
  8. 신재순, 김원호, 이승헌, 김종근, 윤세형, 임영철, 임근발, "간척지 수수 수단그라스에 대한 유안 및 황산칼리비료 시용효과". 한국초지학회 학술발표회 심포지엄, p148-149, (2005).
  9. 이창호, 임수길, "논 토양에 삼요소비료 시용시 이들 비료성분의 토양 내 잔존 형태와 용탈에 의한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 p279-285, (1995).
  10. Brady, C., Weil, R.,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2th Ed., Prentice Hall, (1999).
  11. 장성윤, 이기길, 문희수, 이찬희, "영광 군동․마전 원삼국시대 토기와 가마의 제작특성 및 태토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101-114, (2009).
  12. 김지영, 이찬희, 조선영, 김란희, 이호형, "아산 탕정지구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299-316, (2009).
  13. 김란희, 이선명, 장소영, 이찬희, "기흥 농서리유적 출토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255-271, (2009).
  14. 김란희, 정해선, 정상훈, 이찬희, "대전 원신흥동 유적 츨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7, p163-179, (2011).
  15.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16. Freestone, I.C., Meeks, N.D. and Middleton, A.P., "Retention of phosphate in buried ceramics: An electron microbeam approach". Archaeometry, 27, p161-177, (1985). https://doi.org/10.1111/j.1475-4754.1985.tb00359.x
  17. Johnson, J.S., "Soluble salts and deterioration of archaeological materials". Conserve O Gram number 6/5, National Park Service, p1-4, (1998).
  18. Rijniers, L.A., "Salt crystallization in porous materials: and NMR study". Ph.D. research at Eindheven University of Technology, p1-5, (2004).
  19. Ernesto, B., "ARC Laboratory Handbook- Salts,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Historic Structures and Materials". ICCROM․UNESCO․WHC, p3-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