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Digital Restoration by 3-dimensional Image for Gilt Bronze Cap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of Andong, Goheung

고흥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3차원 디지털 복원연구

  • Lee, Joo-Wan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Oh, Jung-Hyun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Du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주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
  • 오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5.20
  • Published : 2011.06.20

Abstract

A precision measurement and digital image restoration of the 5th century's gilt bronze cap of Baekje dynasty,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 of Andong, Goheung in 2006, was undertaken. The objective of the scanning is to preserve precise feature of the artefact in the form of digital data by embodying it in 3 dimensional space. Acquirement of the data has been undertaken in the following process : 3D scanning to obtain 3D shape and color information(original data photographing)-3D modelling(joining original data and restoring non-photographed or damaged area)-CG image production. Production of restoration CG image was based on joined shape of original data and each part's measurement on CAD. Non-photographed part and area of loss was restored referring actual measurement and research result of excavated cap from the 5th to 8th century. 3D image restoration is one of artefact restoration methods which restores artefact without risk. It is also undertaken with historical research. As result, this method can enhance aesthetic and academic value of the artefact by successful restoration.

2006년 전남 고흥군 안동고분에서 발굴된 5세기의 백제 금동관모의 3D 스캐닝작업을 통하여 정밀실측 및 디지털 영상복원을 실시하였다. 3D 스캐닝은 대상물의 정밀한 형상을 3차원 공간상에 구현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보존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 구축은 3차원 형상과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인 3D 스캐닝(부위별 원시 데이터 촬영) - 3D 모델링(원시 데이터 정합 및 비촬영부 재생과 손실부 복원) - CG영상 제작 순으로 이루어 졌다. 복원 CG영상은 원시데이터의 정합된 형상을 기초근거로 하였고 도면상(CAD)의 각 부재 실측 수치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이때 비촬영 부분과 소실된 부분은 각 부재의 실측자료와 더불어 옛 백제지역에서 출토된 5~8세기의 관모들을 조사하여 복원하였다. 이러한 3D영상 복원은 손상된 유물의 복원방법 중 하나로써 고증과 검증을 통해 유물의 직접적인 손상 없이 유물을 재구성하여 복원함으로써 역사적 및 학술적 가치향상과 유물 복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소연, 양종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문화재의 디지털 복원". 디자인학연구, 51, p219-228, (2001).
  2. 임영진, "고흥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의의". 충청학과 충청문화, 5, 충청남도역사문화원, p33-44, (2006).
  3. 서정은,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 I ". 보존과학연구, 29, p91-110, (2008).
  4. 서정은 ,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금동관모의 수습과 보존처리 II ". 보존과학연구, 30, p7-19, (2008).
  5. 최원호,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보존". 국립문화재연구소, p23-95, (2009).
  6. 홍성균, 김연술, 이회관, 김영찬, 양균의,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측정 및 레지스트레이션시 오차감소에 관한연구". 한국정밀공학회지, 20, p197-206, (2003).
  7. 국립공주박물관, "한성에서 웅진으로". p36-48, (2006).
  8.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p134-14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