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 탈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Physical Parameters and Alkalinity in the Ammonia Stripping

  • An, Ju-S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Lim, Ji-Hy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Back, Ye-J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Chung, Tae-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Chung, Hyung-Ke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1.07.26
  • 심사 : 2011.08.29
  • 발행 : 2011.08.31

초록

공기 폭기법을 통해 암모니아를 제거함에 있어, 반응조의 물리적 인자(폭기 깊이, 공기 방울 크기, 표면적)와 알칼리도가 암모니아의 제거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30 L/min의 공기를 6~53 cm의 폭기 깊이로 실험한 결과, 폭기 깊이는 암모니아 제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H가 10.0, 온도가 $30^{\circ}C$에서 암모니아의 제거 속도 상수와 표준편차는 각각 $0.175h^{-1}$, 0.004로 나타났다. 공기 방울의 크기 및 공기상과 접촉하는 수표면의 표면적은 제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폐수의 알칼리도는 암모니아 제거 속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폭기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수용액에 용존되어 pH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매립지와 하수 종말 처리장에서 채취한 실제 폐수를 대상으로 암모니아 제거 속도를 살펴보았다. 하수 원수(pH = 7.1, alkalinity = 75 mg/L)의 경우, pH를 9.3으로 조절하여도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알칼리도가 높은 침출수 원수(pH = 8.0, alkalinity = 6,525 mg/L)는 초기 pH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공기 폭기에 따른 pH 상승으로 인해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침출수 원수의 pH를 9.4로 조절한 경우, 하수 원수와 달리 공기 폭기에 따른 pH 저하가 나타나지 않아 암모니아 제거 속도가 유지 되었다.

The effect of the physical parameters in the reactor (aeration depth, bubble size, and surface area) and the alkalinity of the solution on the ammonia stripping by bubbling were evaluated. When an airflow of 30 L/min was bubbled below the solution surface in the range 6-53 cm, the ammonia removal rate were observed to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bubbling depths. At pH 10.0 and a temperature of $30^{\circ}C$, the average rate constant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0.178h^{-1}$ and 0.004. No appreciable changes in the ammonia removal rate were also observed with varying the bubble size and the air-contacting surface area. Alkalinity of the solution was found to affect the ammonia removal rate indirectly. This is expected because the pH of the solution would vary with dissolution of gaseous $CO_2$ by air bubbling. The real wastewaters from landfill site and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 were tested. In the case of domestic wastewater (pH = 7.1, alkalinity = 75 mg/L), the ammonia removal rate was poor even with the control of pH to 9.3. The raw landfill leachate (pH = 8.0, alkalinity = 6,525 mg/L), however, showed the appreciable removal rate with increasing pH during aeration. When the initial pH of the leachate was adjusted 9.4, the removal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out changing the pH during a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Sawyer, C. N. and McCarty, P. L.,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3, New York, McGraw Hill(1978).
  2. 이병진, 조순행,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I)," 대한환경공학회지, 22(10), 1893- 1904(2000).
  3. 안대희, 장원석, 정윤철, "응집 및 천연 제올라이트 전처리 공정을 이용한 침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14(4), 380-388(1997)
  4. 김상식, 이건모, 이태진, "공기 탈기법에 의한 석탄가스 폐수중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20(2), 161-170(1998).
  5. Tchobanoglous, G. and Burton, F. L., "Wastewater Engineering : Treatment.Disposal.Reuse," 3, Singapore, McGraw Hill(1991).
  6. 최의소, 이경수 "SBR에 의한 폐기물 침출수의 질소제거,"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2(3), 257-265(1996).
  7. Sedlak, R. I., "Phosphorus and nitrogen removal from municipal wastewater principles and practice," 2, Chelsea, Lewis Publishers(1991).
  8. 이병진, 조순행,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제거(II)," 대한환경공학회지, 24(2), 219- 229(2002).
  9. Siegrist, H., "Nitrogen Removal from Digester Supernatant - Comparison of Chemocal and Biological Methods," Water Sci. Technol., 34(1-2), 399-406(1996). https://doi.org/10.1016/0273-1223(96)00529-X
  10. Janus, H. M. and van der Roest, H. F., "Don't Reject the Idea of Treating Reject Water," Water Sci. Technol., 35(10), 27-34(1997). https://doi.org/10.1016/S0273-1223(97)00220-5
  11. 배재호, 김상근, 이동욱, 장현식, "매립지 침출수의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물 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20(12), 1657- 1668(1998).
  12. 허남효, 박순철, 이진석, 이준표, "암모니아 탈기공정을 이용한 혐기소화 슬러지 탈수액의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제거 및 회수," 대한환경공학회지, 23(4), 601-612(2001).
  13. 서정범, 안광호, "암모니아 스트리핑에 미치는 운전인자의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8(9), 935-939(2006).
  14.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환경부고시 제 2008-99호(2008).
  15. 정형근, 김범식, "인도페놀법을 이용한 수용액 중 암모니아 정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4(1), 91-103(1995).
  16. Srinath, E. G. and Loehr, R. C., "Ammonia desorption by diffused aeration," J. Water Pollut. Control Fed., 46(8), 1939- 1957(1974).
  17. Smith, P. G. and Arab, F. K., "The role of air bubbles in the desorption of ammonia from landfill leachates in high pH aerated lagoon," Water, Air, Soil Pollut., 38(3-4), 333- 343(1988).
  18. Liao, P. H., Chem, A. and Lo, K. V., "Removal of Nitrogen from Swine Manure Wastewaters by Ammonia Stripping," Bioresour. Technol., 54(1), 17-20(1995). https://doi.org/10.1016/0960-8524(95)00105-0
  19. Edwards, T. J. and Prausnitz, J. M., "Thermodynamics of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Volatile Weak Electrolytes," AlChE J., 21(2), 248-259(1975). https://doi.org/10.1002/aic.690210205
  20. Yoon, H. I. and Lim, J. H., "Ammonia removal model based on the equilibrium and mass transfer principles," Bull. Korean Chem. Soc., 29(3), 555-561(2008). https://doi.org/10.5012/bkcs.2008.29.3.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