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uditory Spatial Arrangement of Object's Posi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Environment

가상환경에서의 위치정보 제시를 위한 청각적 공간배열

  • Lee, Ju-Hwan (Department of Newmedia, Korean German Institute of Technology)
  • 이주환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1.04.08
  • Accepted : 2011.04.30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measured the performance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the user in the virtual environment with see-through Head-Mounted Display system that includes 3D sound generated through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auditory display for a certain object's spatial information. To sum up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when presen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with 3D sound, it is desirable that information arrangement from the user should be an orthogonal pattern which is located with right angle, not a diagonal pattern. Like these results propose that spatial information presentation with 3D sound make the optimal object arrangement of virtual environment possible.

본 연구는 공간적 정보의 청각적 제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통해 생성된 3D사운드를 가상공간상 대상 위치의 직각형태(orthogonal pattern), 혹은 대각형태(diagonal pattern)의 조합으로 배열하여 투시장치(See-Through HMD)로 증강현실을 경험하고 있는 사용자 과제수행의 정확성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3D 사운드로 대상의 위치 정보를 제시할 때는 사용자로부터의 방향은 직각으로 위치시키는 정보 배열이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가상적 깊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배열하는 것도 그 깊이를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보다 현실적인 과제 상황에서의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설계된 이중과제(dual task)를 하는 동안 제시된 청각자극 조건에서도 이러한 정확성과 반응시간의 차이가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3D사운드로 대상의 위치와 같은 공간적 정보를 제시 가능한 최적의 배열 형태를 제안하는데, 이는 어떤 패턴으로 정보를 구조화하여 제시하느냐에 따라 청각적 위치 정보 제시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 Spence and J. Driver, "Covert spatial orienting in audition: exogenous and endogenous mechanism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 20, pp. 555-574, 1994.
  2. C. Spence and J. Driver, "Audiovisual links in endogenous covert spatial atten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 22, pp. 1005-1030, 1996.
  3. C. Spence, "Crossmodal attention and multisensory integration," Proceedings of the 18th International Congress on Acoustics, April 2004.
  4. E. Macaluso, C. D. Frith, and J. Driver, "Modulation of human visual cortex by crossmodal spatial attention," Science, vol. 289, pp. 1206-1208, 2000. https://doi.org/10.1126/science.289.5482.1206
  5. J. J. McDonald, W. A. Teder-Sälejärvi, and L. M. Ward, "Multisensory integration and crossmodal attention effects in the human brain," Science, vol. 292, pp. 1791, 2001. https://doi.org/10.1126/science.292.5523.1791a
  6. 이주환, "항공 목표물 탐지과제 수행에서 머리전달함수(HRTF)를 이용한 이중감각적 공간 디스플레이의 주의효과," 한국항행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 571-577, 20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