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채워지지 않는 잔(盞)": 초등 교사들에게 있어 과학 수업의 의미

"Unfillable Cups": Meanings of Science Class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투고 : 2011.01.13
  • 심사 : 2011.03.02
  • 발행 : 2011.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서 초등과학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28명의 교사들을 참여자로 하여 그들의 생활 세계 속에서 형성된 과학 수업의 의미를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탐색해 보았다. 그 결과, 초등 교사들에게 과학 수업의 의미는 일양(一樣)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 경험하는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열정이 넘치는 초임교사 시절에 과학은 그 즐거움을 학생들과 나누고 싶은 교과이다. 그래서 교사들은 과학 수업뿐만 아니라 과학과 관련된 학교 일을 도맡아 할 정도로 의욕을 보인다. 하지만 점차로 좋은 과학 수업을 고민하게 되고실험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깨닫게 되면서 고민은 더욱 깊어진다. 과학 수업을 둘러싼 초등 교사들의 이러한 고민이 실제로 좋은 과학 수업으로 승화되어 나타나기에는 학교의 과중한 업무, 실험실 사고, 가정을 돌봐야 하는 부담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사들은 더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한 고민과 노력을 다시 시작하지만,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학 수업은 여전히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는 "채워지지 않는 잔(盞)"처럼 남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s of science class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Participants were twenty-eight elementary teachers who major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meanings of science classes were not consistent but rather varied with what the teachers experienced. In their early career years, when the teachers were filled with enthusiasm, they devoted themselves to doing science-related school works as well as science lessons. But, the teachers were gradually concerned about good science teaching, and this concern became more severe as they re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experim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achers' concern did not actually develop into good science teaching practices because of such constraints as lots of school works, accidents in science labs, and household affairs.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e teachers revitalized their interest in science and resumed their effort for good science teaching. However, for "unfillable cups"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재천 (2001).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14(2), 159-179.
  2. 고한중, 최무원, 강석진 (2007). 초등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련된 몇 가지 배경 변인 연구. 초등과학교육, 26(2), 192-200.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4. 길양숙 (1999). 수업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맥락. 교육과정연구, 17(2), 39-63.
  5. 김영천 (1997). 네 학교 이야기: 한국 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서울: 문음사.
  6. 김영천 (2005). 별이 빛나는 밤 2: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서울: 문음사.
  7. 김영천, 정정훈, 이영민 (2006). 미운 오리 새끼: 한국 초임교사의 일 년 생활. 서울: 문음사.
  8. 김홍집, 심규철 (2007). 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1), 52-60.
  9. 박종욱 김선자 (1996).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연과 실험수업에서 겪는 문제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263-282.
  10. 서근원 (2007). 수업을 왜 하지? 서울: 우리교육.
  11.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계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2. 서근원 (2002). 어느 교사의 삶에 비추어 본 학교 수업의 교육적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5(1), 79-118.
  13.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8).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46-564.
  14.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15. 이근호 (2007).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16. 이상우, 강충열 (2009).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 교원능력개발평가라는 거울을 통해. 교육과정연구, 27(2), 183-203.
  17.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여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18. 이재천, 권태형, 김범기 (1997). 초등교사들의 자연과 교수지도에 대한 과학 불안도 및 태도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257-275.
  19. 조용환 (1997). 사회화와 교육: 부족사회 문화전승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서울: 교육과학사.
  20. 조용환 (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4(2), 1-27.
  21. 진순희, 장신호 (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과학교육, 26(2), 181-191.
  22. Akerson, V. L. (2005). How do elementary teachers compensate for incomplete science content knowledg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2-3), 245-268.
  23. Akerson, V. L., & McDuffie, A. R. (2006).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 as researcher.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259-274).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24. Appleton, K. (2003). How do beginning primary school teachers cope with science? Toward an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ing practi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1-25. https://doi.org/10.1023/A:1023666618800
  25. Appleton, K. (2006).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31-54).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26. Bryan, L. A., & Tippins, D. J. (2006). Employing case-based pedagogy within a reflection orientation to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299-315).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27. Fulp, S. L. (2002). 2000 national survey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Chapel Hill, NC: Horizons Research.
  28. Gunning, A. M., & Mensah, F. M. (in pres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development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 to teach science: A case stud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9. Harlen, W., & Holroyd, C. (1997). Primary teachers'understanding of concepts of science: Impact on confidence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1), 93-105.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107
  30. Helms, J. V. (1998). Science - and me: Subject matter and identity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7), 811-83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9)35:7<811::AID-TEA9>3.0.CO;2-O
  31. Levitt, K. E. (2001).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beliefs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6(1), 1-22.
  32. Mulholland, J., & Wallace, J. (2001). Teacher induction an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nhancing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2), 243-261.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54-8
  33. Oh, P. S., & Oh, S. J. (in press).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피인용 문헌

  1.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vol.33,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405
  2.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vol.10, pp.3, 20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