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재천 (2001).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14(2), 159-179.
- 고한중, 최무원, 강석진 (2007). 초등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련된 몇 가지 배경 변인 연구. 초등과학교육, 26(2), 192-200.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 길양숙 (1999). 수업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맥락. 교육과정연구, 17(2), 39-63.
- 김영천 (1997). 네 학교 이야기: 한국 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서울: 문음사.
- 김영천 (2005). 별이 빛나는 밤 2: 한국 교사의 삶과 그들의 세계. 서울: 문음사.
- 김영천, 정정훈, 이영민 (2006). 미운 오리 새끼: 한국 초임교사의 일 년 생활. 서울: 문음사.
- 김홍집, 심규철 (2007). 과학 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1), 52-60.
- 박종욱 김선자 (1996).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연과 실험수업에서 겪는 문제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263-282.
- 서근원 (2007). 수업을 왜 하지? 서울: 우리교육.
-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계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 서근원 (2002). 어느 교사의 삶에 비추어 본 학교 수업의 교육적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5(1), 79-118.
-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8).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46-564.
-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 이근호 (2007).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 이상우, 강충열 (2009).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 교원능력개발평가라는 거울을 통해. 교육과정연구, 27(2), 183-203.
-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 (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여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 이재천, 권태형, 김범기 (1997). 초등교사들의 자연과 교수지도에 대한 과학 불안도 및 태도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257-275.
- 조용환 (1997). 사회화와 교육: 부족사회 문화전승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서울: 교육과학사.
- 조용환 (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4(2), 1-27.
- 진순희, 장신호 (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과학교육, 26(2), 181-191.
- Akerson, V. L. (2005). How do elementary teachers compensate for incomplete science content knowledg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2-3), 245-268.
- Akerson, V. L., & McDuffie, A. R. (2006).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 as researcher.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259-274).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 Appleton, K. (2003). How do beginning primary school teachers cope with science? Toward an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ing practi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1-25. https://doi.org/10.1023/A:1023666618800
- Appleton, K. (2006).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31-54).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 Bryan, L. A., & Tippins, D. J. (2006). Employing case-based pedagogy within a reflection orientation to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299-315).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 Fulp, S. L. (2002). 2000 national survey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Chapel Hill, NC: Horizons Research.
- Gunning, A. M., & Mensah, F. M. (in pres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development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 to teach science: A case stud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 Harlen, W., & Holroyd, C. (1997). Primary teachers'understanding of concepts of science: Impact on confidence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1), 93-105. https://doi.org/10.1080/0950069970190107
- Helms, J. V. (1998). Science - and me: Subject matter and identity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7), 811-83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9)35:7<811::AID-TEA9>3.0.CO;2-O
- Levitt, K. E. (2001). A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beliefs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6(1), 1-22.
- Mulholland, J., & Wallace, J. (2001). Teacher induction an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nhancing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2), 243-261.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54-8
- Oh, P. S., & Oh, S. J. (in press).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피인용 문헌
-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vol.33,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405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vol.10, pp.3, 20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