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경숙 (2009).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이 자궁적출술 환자의 잔뇨량, 가스배출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 강경자, 송미순 (2010).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동기증진 교육.상담 프로그램이 건강행위변화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6(2), 5-16.
- 김남초, 최경옥 (2006). 개별 심장재활교육이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환자의 지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3(1), 42-49.
- 김수진 (2006). 구조화된 간호정보 제공이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환자의 자가간호 지식과 수행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구.
- 김인자 (1992). 관상동맥질환 환자의지식정도와 치료지시 이행정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박성은 (2006). 관상동맥질환 재발환자를 위한 내적통제위 강화 개별교육이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배희옥 (2001). 구조화된 정보제공이 간경변증 환자의 지식과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3(3), 476-485.
- 신주영, 김순용 (2002). 자기효능정보자원 프로그램이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14(1), 114-124.
- 이상윤 (2008] 수술환자를 위한 동영상 활용 자가 통증조절장치에 대한 교육의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광주.
- 이영진 (2007). 생활양식 개선 교육프로그램이 관상동맥 질환자의 건강행위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3(3), 43-54.
- 이미진, 김은숙, 김해리나, 이선미 (2009). 동영상 운동요법이 척추수술 환자의 통증과 일상생활 기능,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5(3), 39-48.
- 장세정 (2000). 간호정보 제공이 자궁적출술 환자의 수술 후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 정선경 (2006). 지지적 간호중재가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신념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정연이 (2002).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인터넷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 정현철 (2008). 동영상과 책자를 이용한 교육이 환자의 입원 생활 이해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4(1), 45-50.
- 정혜선 (2001). 심근경색증 환자의 죽상경화증 위험요인별 질병관련지식과 건강행위이행. 성인간호학회지, 13(4), 529-538.
- 조연실 (2004). 구조화된 퇴원교육이 관상동맥질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 조은혜 (2009).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실시한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과 교육요구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조혜영 (2005). 심장병 관리 개별교육이 관상동맥질환자의 자가간호수행과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 최옥자 (2005). 지지간호가 관상동맥 조영술 후 관상동맥 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광주.
-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4). American heart association's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2004 update. from web site: http;//www.americanheart.org
-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7). 2007 Performance measures on cardiac rehabilitation for referred to and delivery of cardiac rehabilitation/secondary prevention service. circulation, 116, 1611-1642.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7.185734
- Austin, F. H., & Jones, K. (2004). Heart disease attributions of patients prior to elective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9(1), 41-45. https://doi.org/10.1097/00005082-200401000-00008
- Cobb, S. L., Brown, D. J., & Davis, L. L. (2006). Effective interventions for lifestyle change after myocardial infarction or coronary artery revasculariz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18(1), 31-39. https://doi.org/10.1111/j.1745-7599.2006.00096.x
-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Pub.
- Dracup, K. A. (1982). Compliance an interaction approach. Nursing Research, 31(1), 31-35.
- Haskell, W. L. (2003).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lifestyle interventions: effectiveness and efficasy.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8(4), 245-255. https://doi.org/10.1097/00005082-200309000-00003
- Sopko, G. (2002). Preventing cardiac events and restenosi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24), 3259-3261. https://doi.org/10.1001/jama.287.24.3259
- Womack, L. (2003). Cardiac rehabilitation secondary prevent programs. Clinical Sports Medicine, 22(1), 136-160.
피인용 문헌
- Development of Smartphone Educational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vol.20, pp.2, 2014, https://doi.org/10.4258/hir.2014.20.2.117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lf Care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vol.20, pp.2,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66
-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Cardiac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bout Coronary Artery Disease, Compliance of Sick Role, and Vascular Health Status in Patients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vol.18, pp.2, 2015, https://doi.org/10.7587/kjrehn.2015.135
-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vol.16, pp.1, 2013, https://doi.org/10.7587/kjrehn.20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