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 송기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
  • Received : 2011.03.28
  • Accepted : 2011.05.13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providing basic data to design successful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 librarians by analyzing their preference on subjects of customized intensive programs for indicators of teacher expertis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eacher librarians seem to regard training subjects such as Rea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related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as core jobs and prefer developing instruc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Under the levels of school it seems that teacher librarians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interested in programs for library activation, management of volunteers, analyses of users' needs and curricula, evaluations of user instruc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lder teacher librarians favor an understanding of metadata, building and supporting information system and instruction. Therefore, training subjects for teacher librarians should be formed by linking strategies between school library instruction and subject curricula. And in terms of the method of training, case studies and practical training might be better than lectures based on the theory.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현직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분석 결과 사서교사들은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이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서교사가 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이용자 요구 및 교육과정 분석, 이용자 교육 평가 그리고 정보활용교육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보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보시스템과 교육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사서교사 연수과목은 학교도서관 교육과 교육과정 연계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연수 방법은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는 사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1.2.20]. .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학년도 교원능력개발평가 표준 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직 발전기획과.
  3. 교육과학기술연수원. 2010. 맞춤형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권역별시․도 담당자 워크숍. 서울: 교육과학기술연수원.
  4. 광주광역시교육연수원. 2010a. 사서교사 맞춤형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결과보고서. 광주: 광주 광역시교육연수원.
  5. 광주광역시교육연수원. 2010b. 교원능력개발평가대비 사서교사 맞춤형 시범연수. 광주: 광주광역시교육연수원
  6. 김성준. 2009.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49-270. https://doi.org/10.16981/kliss.40.3.200909.249
  7. 김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135-159.
  8. 문화체육관광부. 2008.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9. 박지혜, 최희준. 2009.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93-111.
  10. 송기호. 2008.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개정3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정일환, 강용원. 2000. 교원 현직연수의 발전 방향 탐색. 교육학논총, 21(1): 327-340.
  12. Hughes-Hassell, Sandra, & Harada, Violet H. 2007. School Reform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Wesport: Libraries Unlimited
  13. Miller, Susan. 2005.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library media specialist." The Whole School Library Handbook.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Cited by

  1. A Study on Building Integrated Supervision Organizations of Reading and Libraries Unde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Korea vol.45, pp.3,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1.45.3.049
  2. A Study on the Ego State Types of Teacher Librarians vol.25, pp.2,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