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ngle- and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of Food Waste Effluent

단상 및 이상혐기소화공정을 이용한 음폐수의 바이오에너지화

  • 황보준권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바이오에너지연구팀) ;
  • 서재건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바이오에너지연구팀) ;
  • 윤희철 (포스코건설 R&D 센터 녹색환경연구그룹) ;
  • 박현건 (포스코건설 R&D 센터 녹색환경연구그룹) ;
  • 이보원 (포스코건설 R&D 센터 녹색환경연구그룹)
  • Received : 2010.07.21
  • Accepted : 2010.11.01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The anaerobic digestion of food waste effluent through single- and two-phase process was estimat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The treatment efficiencies for total solid(TS), volatile solid(VS), tCOD(total COD) and sCOD(soluble COD) were invariably higher in the single-phase process, which was accounted for by the fact tha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organic wastes usually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organic loading rate in the anaerobic digestion. In fact, the organic loading rate was lower for single-phase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tC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wo-phase process but much more biogas was produced, compared to single-phas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which might be explained partly by the relatively higher stability of two-phase process resulting from the separation of acid phase from methane phase.

음식물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폐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혐기소화공정을 선정하기 위하여, 단상 및 이상혐기소화공정을 대상으로 데모플랜트(일 5톤 처리용량)를 활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TS, VS, tCOD 및 sCOD 처리율을 비교하여 보면 모든 항목에서 단상혐기소화공정의 처리율이 우수하였지만, 바이오가스는 오히려 이상혐기소화공정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단상혐기소화공정의 경우 운전기간 동안 음폐수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처리효율은 뛰어 났지만, 음폐수 투입량 변동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발생이 민감하게 반응을 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상혐기소화공정의 경우 총 COD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단상혐기소화공정보다 많이 발생되었다. 이는 음폐수 투입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산발효공정과 메탄발효공정이 분리되어 운영됨으로써 공정 전체가 안정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음폐수처리를 위해서는 공정 선정이 중요하지만 단순 유기물처리율 비교만으로는 종합적인 평가가 어려우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원료성상, 투입량, 처리율, 운전기간, 바이오가스발생량 등을 종합하여 소화성능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천(2008), "하수농축슬러지의 혐기성소화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과 유기물질 감량화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지, 25(1): 50-57.
  2. 이인규, 김승재, 권순국, 김현욱(2008), " 음식물 쓰레기, 돈분뇨, 하수슬러지의 이상병합혐기성소화",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 연구발표회논문집, 461-465.
  3. 이주길(1993), 슬러지의 혐기성소화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유기물 제거효율과 탈수특성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최광근, 김선집, 이태준, 이준철, 박대원, 이원권(2006), " 효율적 슬러지 전처리를 위한 최적 가용화 방법 탐색", 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452-457.
  5. 환경부(2007),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폐수 육상처리 및 에너지화 로드맵.
  6. Demirel, B. and Yenigun, O. (2002), "Two-phase Anaeorbic Digestion Processes: A Review", J. Chem. Tech. and Biotech., 77: 743-755. https://doi.org/10.1002/jctb.630
  7. Ghosh, S., Buoy, K., Dressel, L., Miller, T., Wilcox, G. and Loos, D. (1995), "Pilot- and Full Scale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of Municipal Sludge", Water Environment Research, 67(2): 206-214. https://doi.org/10.2175/106143095X131367
  8. Poulsen, T. (2003), Solid Waste Management - Chapter 5 Anaerobic Digestion, Aalberg University.
  9. Van Starkenburg, W. (1997), "Anaerobic Treatment of Wastewater: State of Art", Microbiology, 66: 589-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