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f Annual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특성별 연강수특성 변화분석

  • 김광섭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김종필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 이기춘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Received : 2011.02.09
  • Accepted : 2011.03.23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In this study, recent trends of the annual precipitation, th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of different durations and the rain days over several thresholds(i.e. 0, 10, 20, 40, 60 and 80 mm/day) according to the different local features were analyzed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of 59 weather stations between 1973 and 2009. To analyze the variabi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59 weather stations were classified by elevations, latitudes, longitudes, river basins, inland or shore(east sea, south sea, west sea) area and the level of urbaniz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overall trend of variables increases except rain day. Result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increase trend becomes stronger with elevation increase. The increase trend of Han river basin is largest and that of Youngsan river basin is smallest. Also the increase trend becomes stronger with latitude increase and that of East coast is larger than that of South coast since it may be caused by the regional difference of elevation. The increase trend of urban area is larger than that of rural area. Overall trend showed that increase trend becomes stronger with elevation and latitude increase.

본 연구에서는 1973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 기상관측소 59개 지점에 대한 연강수량,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수량, 그리고 한계치별(threshold) 강수일수 등 극한지수를 이용하여 지역특성에 따른 추세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59개 지점에 대한 위치적 특성을 구분하기 위하여 고도, 위도, 경도, 유역, 내륙 및 해안(동해, 서해, 남해), 도시화 및 비도시화 등으로 분류하여 지역특성에 따른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강수량 자료에 대한 추세분석 결과, 강수일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변수들은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지역특성별 증가특성의 경우 고도가 높아질수록 증가추세가 뚜렷하였고, 유역별로는 한강유역의 증가추세가 가장 크고 영산강유역의 증가추세가 가장 작았으며, 위도별로는 위도가 높아질수록 증가추세가 커졌다. 해안별 특성은 동해안의 증가 추세가 가장 크고 남해안의 증가 추세가 가장 작았으며 이는 해안의 고도차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 위도증가에 따라 내륙의 평균 증가폭은 해안 전체의 평균 증가폭과 비슷했다. 경도별로는 내륙에서 태백산맥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장 큰 증가추세를 보였다. 도시화 지역이 비도시화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증가추세를 보였다. 증가추세는 전반적으로 고도와 위도가 증가할수록 증가추세가 뚜렷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섭, 임태경, 박찬희 (2009) 우리나라 월 및 연강수량의 경년 변동성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6호, pp. 17-30.
  2. 김보경, 김병식, 김형수 (2008) 극한지수를 이용한 극한 기상사상의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B호, pp. 41-53.
  3. 배덕효, 이병주, 정일원 (2008) 기후변화에 의한 건설시공환경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4D호, pp. 513-521.
  4. 유철상, 김대하, 박상형, 김병수, 박창열 (2007) 서울지점 강우자료에 나타난 도시화의 간섭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8호, pp. 629-641.
  5. 이재준, 장주영, 곽창재 (2010) 각종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별 특성 변화 분석(I) - 기본 통계량, 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4호, pp. 409-419.
  6. 최영은 (2004) 한국의 극한 기온 및 강수 사상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논문집, 대한지리학회, 제39권, 제5호, pp. 711-721.
  7. 황석환, 김중훈, 유철상, 이정호 (2010) 장기간의 서울지점 강우 자료에 나타난 월간 기후변화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1B호, pp. 1-11.
  8. Begert, M., Schlegel, T. and Kirchhofer, W. (2005) Homogeneou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eries of Switzerland from 1864 to 2000, Int. J. Climatology, Vol. 25, pp. 65-80. https://doi.org/10.1002/joc.1118
  9. Burn, D.H. and Hag, E.M.A. (2002) Detection of hydrological trends and variability, Journal of Hydrology, Vol. 255, pp. 107-122. https://doi.org/10.1016/S0022-1694(01)00514-5
  10. Dietz, E.J. and Kileen, A. (1981) A nonparametric multivariate test for monotone trend with pharmaceu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76, pp. 169-174.
  11. Gemmer, M., Becker, S. and Jiang, T. (2004) Observed monthly precipitation trends in China 1951-2002, Theor. Appl. Climatol., Vol. 77, pp. 39-45. https://doi.org/10.1007/s00704-003-0018-3
  12. Hirsch, R.M. and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pp. 727-732. https://doi.org/10.1029/WR020i006p00727
  13. Kampata, J.M., Parida, B.P., and Moalafhi, D.B. (2008) Trend analysis of rainfall in the headstreams of the Zambezi river basin in Zambi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Vol. 33, pp. 621-625. https://doi.org/10.1016/j.pce.2008.06.012
  14. Karpouzos, D.K., Kavalieratou, S., and Babajimopoulos, C. (2010) Trend analysis of precipitation data in Pieria region(Greece), European Water, Vol. 30, pp. 31-40.
  15.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https://doi.org/10.2307/1907187
  16. Partal, T. and Kahya, E. (2006) Trend analysis in Turkish precipitation dat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0, pp. 2011-2026. https://doi.org/10.1002/hyp.5993
  17. Xu, Z.X., Takeuchi, K., Ishidaira, H. (2003) Monotonic trend and step changes in Japanese precipit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79, pp. 144-150. https://doi.org/10.1016/S0022-1694(03)00178-1
  18. Yue, S. and Hashino, M. (2003) Long term of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Japan,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5, pp. 587-596.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3.tb0367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