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a plan for creating a landscape environment by grasping a landscap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iddle span and sag ratio which is a consideration factor when designing the suspension bridge representing long-span bridges and image property of the bridge while applying SD method to a relation between landscape preference and image factor, and a connection of design element with image factor. An analysis on landscape preference about the bridge landscape showed from what the longer the length of middle span, the extent of sag ratio of preference decreased, the longer the middle span low sag ratio was preferred and the higher the landscape preference became. In landscape preference and image factor, the attribute of sag ratio with high landscape preference was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bility", "plasticity", and "aesthetic" but an influence of "plasticity" was in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design element and image factor, the factor of middle span and sag ratio was more related to the factor of "stability" and the lower the sag ratio and the longer the middle span, the higher the "stability" was rated. This result showed the image property of "plasticity" was insignificant among the one of preference in landscape and to highlight the one of "plasticity" a complementary experiment was done with a change in balance and symmetry elements not in proportional element of middle span and sag ratio. The result showed the image property of "plasticity" was more highlighted in the suspension bridge of 3-tower and different bilateral symmetry at sag, and when designing the landscape of suspension bridge later on, the elements of balance and symmetry as well as the proportional element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design.
본 연구는 교량 중에 장대교량을 대표하는 현수교에 대한 설계 시 고려요소인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변화에 따른 경관선호도를 파악하고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 설계요소와 이미지요인과의 관계를 SD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량경관에 대한 경관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교량의 중앙경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호하는 새그비의 범위는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새그비를 선호하며,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경관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경관선호도와 이미지요인에서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새그비의 속성에는 "안정성" "조형성" "심미성"과 모두(+)상관관계에 있지만 "조형성"의 영향이 미비하였다. 설계요소와 이미지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요인에는 "안정성"이라는 요인과 더 관계되어 있었으며, 새그비가 낮아질수록 중앙경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 결과, 경관적으로 선호하는 이미지의 특성 중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조형성"의 이미지특성의 부각을 위해 중앙경간과 새그비의 비례요소가 아닌 균형과 대칭의 요소의 변화를 주어 보완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3주탑현수교와 새그의 좌우대칭이 다른 현수교가 "조형성"의 이미지 특성이 더 부각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추후에 현수교의 경관설계를 할 때 비례요소뿐만 아니라 균형과 대칭의 요소도 고려하여 설계 시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