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하대학교
References
- 구명숙․홍상욱(2005).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전업주부 재취업 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63-167.
- 권희경(2010).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87-97.
- 김남주․권태희(2009).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여성연구, 76(1), 43-70.
- 김선미(2004).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37-553.
- 김영경(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 교육 요구분석 연구. 여성연구, 73(2), 85-118.
- 김영옥(2002).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5(2), 5-40.
- 김정희․문혁준(2006).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1), 115-129.
- 김지경(2003).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 김지경(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3), 91-104.
- 김지경․조유현(2003). 젊은 여성의 첫 출산 후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노동경제논집, 26(3), 181-207.
- 김태홍(2000). 여성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방향. 서울: 한국 여성개발원.
- 김태홍․민무숙․김영옥․김선미․양순애․진미석․주재선 (2001). 여성인적자원 개발 및 활용제고를 위한 추진 전략.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김희연(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위탁 과제 보고서.
- 문혁준(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4(5), 59-75.
- 문혁준(2009).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0(2), 57-69.
- 민무숙(2002).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 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박경란․이영숙․전귀연(2001). 현대가족학. 서울: 신정.
- 박경숙․김영혜(2003). 한국 여성의 생애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 박수미(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 방경숙(2004). 취업모와 미취업모의 양육태도, 양육부담감 및 학령전기 자녀의 기질과 건강관련 변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0(2), 217-224.
- 오은진․박성정․민현주․김난주․송창용․김지현(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윤택림(2001). 한국의 모성. 서울: 미래인력연구원.
- 윤택림(1996). 생활문화 속의 일상성의 의미: 도시 중산층 전업 주부의 일상성과 모성 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79-117
- 이민경(2007).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 자녀교육 지원 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7(3), 159-181.
- 이숙현(2004). 고학력 여성의 취업 중단과 재진입. 김미경․백진아․이미숙․이미정․이선이․이숙현 공저, 일과 가족사이. 서울: 조은글터.
- 이재경(2003).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서울: 또하나의문화.
- 이재열(1996).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인구학, 19(1), 5-44.
- 이현정(2009). 취업모의 직업 특성이 양육행동과 영유아의 운동, 사회,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3), 1-21.
- 장서영(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 장서영․오민홍․은혜경․최미정(2007).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 장영은(2009). The effects of child care and maternal employment on mothers' well-being and child outcomes: the roles of maternal beliefs and attitudes (보육과 어머니 취업이 어머니의 복지감과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신념과 태도의 역할). 가족과 문화, 21(1), 175-207.
- 장지연․김지경(2001). 양육형태와 비용이 기혼여성의 취업단절에 미치는 영향. 제 3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논문집.
- 조정문․장상희(2001).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연보.
- 통계청(2008). 사회조사 가족 부문.
- 통계청(2009). 경제활동인구조사.
- 통계청(2010). 인구동태통계.
- 한겨레(2009. 3. 22). 30대 여성, 고용악화 최대 피해자. http://www.hani.co.kr에서 2010년 3월 8일 인출.
- 한국여성개발원(2004). 여성통계연보.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한규석(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 홍현미라․권지성․장혜경․이민영․우아영(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 황수경(2002).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패턴과 여성노동시장의 이중구조.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발표문, 25-53.
- 황수경(2003). 여성의 직업선택과 고용구조.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 황수경․권혜자․김인선(2006).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 지원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Friedan, B.(1978). 김행자 역(1996). 여성의 신비. 서울: 평민사.
- Giorgi, A.(1985). 신경림․장연집․박인숙․김미영․정승은 역(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 현문사.
- Jang, S. Y. & Merriam, S.(2004). Korean culture and the reentry motivations of university women. Adult Education Quarterly, 54(4), 273-290. https://doi.org/10.1177/0741713604266140
- Padgett, D. K.(1998). 유태균 역(2001).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