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박은혜(2001) 특수교육 및 재활에서의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재활복지 5(1), 56-84.
- 박현옥 .이소현(2000)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방안 고찰. 교육과학연구 3(1), 37-52.
- 방명애(2000)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교수전략의 사용과 지원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7, 89-112.
- 유수옥(1998)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견해. 특수교육학 연구 36(4), 169-190.
- 윤학숙(2001)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조기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 연구. 특수교육논총 12, 37-60.
- 윤혜경(1991) 장애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일반 유아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소현 . 박현옥(2000)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방안 고찰. 교육과학연구 3(1), 37-52.
- 이소현 . 원종례 . 조윤경 . 김수진(2005) 장애아동 통합을 위한 보육 프로그램 개발. 삼성복지재단, 66-81.
- 이소현 . 황복선(2000)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 일반교사 간 협력모형: 구조적측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연구 7, 67-87.
- 이소현 . 박은혜(1998) 특수아동교육 : 일반학급 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지침서. 서울 : 학지사.
- 이명자(1995)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유치원장의 태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윤미(2006) 유아통합학급의 협력교수 운영 실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임병미(2003)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태도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이현숙(2005) 장애유아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장금수(2003)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실태 및 개선방안 비교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한국어린이육영회(1987)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시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
- Bawens J, Hourcade J, Friend M(1989) Cooperative teaching: A Model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intergration. Remidial and Special Education 10(2), 17-22. https://doi.org/10.1177/074193258901000205
- Bawens J, Hourcade J(1997) Cooperative teaching: Portraits of possibilities. ED410721.
- Bricker DD(1978) Rationale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In M.Guralnick (ed.). Early intervention and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3-26. Baltimore : University Park Press.
- Cook L, Friend M(1993) Educational leadership for teacher collaboration. In B. Billingley (ed.). Program leadership for serv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421-444. Richmong, VA: Virginia Department of Education.
- Cook L, Friend M(1995) Co-teaching: Guidelines for creating effective practice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8(3), 1-16.
- Karge BD, McClure M, Patton PL(1995) The success of collaboration in resource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rades 6 though 8.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6, 79-89. https://doi.org/10.1177/074193259501600203
- Mills GE 저, 강성우외 공역(2005) 교사를 위한 실행 연구. 서울: 우리교육.
- Parrt P, Driver B, Eaves D(1992) Collaborative teaching must be a collaborative venture. Published in Futuristic Perspective and Promising Practices, Special publication of the Virginia Council for learning Disabilities. March. 1-6.
- Pugach MC, Johnson LJ(1995) Students' time on learning tasks in special education. Exceptional Children 55, 508-515.
- Salend SJ, Johansen M, Mumper J, Chase AS, Pike KM, Dorney JA(1997) Cooperative teaching : The voice of two teacher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8(1), 3-11. https://doi.org/10.1177/074193259701800103
- Thousand, Villa(1990) Strategies for educating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within their local home, school, and communities.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23(3), 1-10.
- Vaughn S, Shay SJ, Argyles ME(1997) The ABCDEs of co-teaching.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9 (2), 4-10.
- Vaughn S, Schumm J, Arguelles, M(1997) The ABCDEs of co-teaching.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0(4),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