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기연(2000).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 결정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사무직.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강학중(2007). 맞벌이 남편의 가사 및 자녀돌봄 분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기은광(2003).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공평성인지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금옥(1998). 부부의 성역할 성향과 의사소통도 및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령(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5-62.
- 김선미(2008). 가사도우미에 의한 가사노동대체,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15-33
- 김유순(1998). 공평성 인식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6(2), 213-231.
- 김진영(2005).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옥(2005).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57(3), 55-72.
- 김현주(2003). 부부의 경제 및 가사역할의 수행과 인식 수준에 따른 결혼만족도. 가족과 문화 15(1), 97-130.
- 김화자(1990).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중, 고등, 대학교의 학부모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두경자, 유희숙(2000). 확대기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 및 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1), 47-57.
- 마경희(200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분담.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엄 논문집 119-144.
- 문숙재, 허경옥, 홍윤정(1997). 부부간 가사노동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5(2), 345-358.
- 박주희(1994). 취업 부부의 가사노동의 시간과 성별 분리 정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영애, 양세정(1996). 가사노동시간의 결정요인: 비취업주부와 취업주부의 비교. 인천대학교 논문집 2(1), 89-106
-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 심순아, 정옥분(2004).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4), 141-156.
- 심혜선, 이정우(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29-145
- 유계숙(2010). 맞벌이부부의 가사분담이 부인의 일-가족 전이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49(1), 41-70.
- 유희숙(1999).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와 결혼만족도.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희숙, 두경자(1999). 취업주부와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 실태 및 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1), 123-134.
- 윤경자(1997). 성역할 태도가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22-234.
- 이명신(1998). 맞벌이 부부의 스트레스 결정요인: 전문직부인과 생산직부인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 115-148.
- 이명신(2001). 전문직 맞벌이 부부의 권력구조와 가사분담. 사회과학연구 19(1), 43-78.
- 이미숙(1996). 맞벌이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성역할정체감이 가사분담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16(1), 153-173.
- 이미숙(1997).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성평등 연구 1, 279-288.
- 이미숙(2000). 부인의 취업상태에 따른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145-161.
- 이수정(1997). 맞벌이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희(2002).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맞벌이 남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99-119.
- 이정우, 강기연(2001).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 참여도 및 가정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9), 137-152.
- 이택면, 김승연, 우원규, 이주영, 강석훈(2009). 200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사업보고서 및 제2차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정기선, Yoshinori Kamo, 이지혜(2004). What Makes Husband and Wif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s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Japan. 한국인구학 33(1), 133-160.
- 정은애(2007). 자녀수에 따른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와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정문(1995). 결혼생활의 공평성 인지와 결혼만족. 한국사회학 29, 559-584.
- 조지은(2005). 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부모기 전이부부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지혜정(2006). 부부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4(1), 51-80.
- 채로(2003).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채로.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 최수선(1995).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유경(2002). 결혼 초기 부부의 스트레스인지와 대처방안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혜(2006).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지 18(3), 163-173.
- 통계청(2009). 2009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
- 통계청(2010a). 경제활동인구조사.
- 통계청(2010b). 통계청 사회조사 등을 통해 바라본 우리나라 부부의 자화상.
- 한국여성개발원(1994). 1994 여성통계연보.
- 홍윤정(1996). 부부간 가사노동 분담과 공평성 인지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mato, P. R. & A. Booth (1995). Changes in Gender Role Attitudes and Perceived Marital Qual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1), 58-66.
- Bianchi, S. M., Milkie, M, A, Sayer, L. C., & Robinson, J. P.(2000). Is Anyone Doing the Housework? Trends i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Forces, 79(1), 191-228.
- Bieuvenu, M. J. (1970).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The Family Coordination 19(1), 26-31.
- Crouter, A. C., & Helms-Erikson, H.(2000). Work and family from a dyadic perspective: variations in inequality. In Milardo, R. M., & Duck, S.(Eds), Family as relationship (pp100-133).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 Fowers, B. J.(1991). His and her marriage: A multivariate study of gender and marital satisfaction. Sex Roles 24(3), 209-221.
- Frisco, M. L., & Williams, K.(2003). Perceived housework equity, marital happiness, and divorce in dual-earner households. Journal of Family Issues 24, 51-73.
- Hawkins, A. J., Roberts, T. A., Christiansen, S. L., & Marshall, C. M(1994). An evaluation of a program to help dual-earner couples share the second shift. Family Relations 43, 213-220.
- Jeries, N.(1979). Marital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wive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7(4), 226-233.
- Larsen, A. & Olson, D. H.(1990). Capturing the complexity of family systems: Integrating family theory, family scores, and family analysis. In Draper, T. W., & Marcos A. C.(Eds), Family Variable(pp19-47). Newbury Park, CA: Sage.
- Lye, D. N., & Biblarz, T. J. (1993). The effects of attitudes toward family life and gender roles 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Issues 14, 157-188.
- McHale, S. M., & Crouter, A. C.(1992).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Incongruence between sex-role attitudes and family work roles and its implications for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3), 537-547.
- Pina, D. L., & Bengston, V. L. (1993).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wives's happiness: ideology, employment, and perceptions of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 901-912.
- Schumm, W., Nichols, C., Schectman, K., & Grigsby, C. (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 53, 567-572.
- Spanier, G. B., & Lewis, R. A.(1980).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4), 825-839.
- Suitor, J. J.(1991). Marital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1), 221-230.
- Veroff, J., Young, A., & Coon, H, M.(2000). The early years of marriage. In Milardo, R. M., & Duck, S.(Eds), Family as relationship(pp19-38)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Inc.
- Wilkie, J. R., Ferree, M. M., & Ratcliff, K. S.(1998). Gender and fairness-marital satisfaction in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3), 577-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