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and Beauty Involvement According to a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패션과 뷰티관여도

  • Park, Hyun-Ju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 Park, Sook-Hyun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0.10.27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fashion and beauty involvement according to a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nd employees residing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factor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were divided into the individual pursuit orientation, brand orientation, high price orientation, and fashion pursuit orientation. The subfactors of fashion involvement were composed of physical supplementations, social symbols, outward appearance direction, sex appeal, and assimilation; in addition, those of beauty involvement consisted of hair design, skin management, make-up application, and shape management. Because of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fashion involvement, and beauty involvement,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brand orientation, fashion in physical supplementation and outward appearance direction as well as beauty involvement in skin management and make-up directi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in the student influences the fashion pursuit orientation of fashion and beauty involvement because of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in employees influences the individuality pursuing orientation and high price orientation in fashion involvement.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e tendency that university students put the most importance on fashion for fashion and beauty related product purchases and management direction; in addition, employees with income pursue high prices that can show their positions and economic power at work.

Keywords

References

  1. 과시소비내용과 원인. (2005, 2. 3). 요재의 배회. 자료검색일 2010, 5. 3,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3sang4/40010201030
  2. 김문진. (1989). 상표이미지 선호도와 패션광고 전략에 관한 연구-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3(3), 197-206.
  3.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5), 99-108.
  4. 김세희. (2004). 의복쇼핑성향의 측정도구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28(9/10), 1253-1264.
  5. 김아날리아. (2006). 프린틴 세대의 외모관리행동 영향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해정. (2008). 자기애 성향에 따른 외모관여도 및 의복소비 가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문혜경. (2003). 자아존중감, 외모관심도와 의복태도 및 화장도에 관한 연구. 복식, 53(4), 101-112.
  8. 박미정. (2002).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 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3-14.
  9. 박주현. (2010).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외모관리행동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박혜원. (2005). 남녀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의복행동 및 의복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 103-113.
  11. 신연욱. (2006). 남성 외모관리행동의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13. 안길상. (1991). 포스트 모더니즘과 과소비문화. 한국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서울.
  14. 안소현. (1997). 외국상표 의류에 대한 소비자 쇼핑성향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1(3), 559-570.
  15. 오지현. (2006). 대학생의 소비지향적 태도에 따른 과시소비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43-59.
  16. 유은정. (2000). 의복의 과시소비성향 및 관련 변수와 의복구매행동과의 관계 연구. 복식문화연구, 8(3), 477-485.
  17. 윤소영. (2007). 여대생의 외모관리에 대한 의식 및 태도 연구-헤어, 피부, 화장, 미용성형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명희. (2004).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와 헤어스타일 변화에 따른 이미지 지각 연구. 복식문화연구, 12(6), 971−983.
  19. 이영선. (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가치, 유행의사 선도력 및 쇼핑행동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24(4), 549-559.
  20. 이은실. (1995).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관여에 관한 연구. 복식, 25, 233-247.
  21. 정규진. (2004). 자기표현과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노출 관련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정영주. (1994). 의복관여와 준거집단 영향력과의 상관 연구. 생활과학연구지, 9, 89-114.
  23. 정윤희. (2008). 포스트 디지털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행동 및 화장행동과의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526−536.
  24. 정지원. (2003).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소비성향에 수입명품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81-192.
  25. 조선명.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227-1238.
  26. 한국 사회 세대별 특성과 트렌드 변화. (2006). 국가경영전략연구원. 자료검색일 2010, 12. 8, 자료출처 www.nsi.or.kr/ws/download_nsi-php?sid
  27. LaBarbera, P. A. (1988). The nouveaux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 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3, 179-210.
  28. Mason, R. S. (1981). Conspicuous consumption: A study of exceptional consumer behavior. N.Y.: St. Martin's Press.
  29. Veblen, T. (1912).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Y.: Macmillan.

Cited by

  1. Impa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Fashion Consumption Propensity and Cloth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Female Smart Phone Users in 20's and 30's - vol.14, pp.4, 2012, https://doi.org/10.5805/KSCI.2012.14.4.578
  2. An Exploratory Study on Daily Grooming Ritual: Transition from Private Self to Public Self vol.18, pp.6, 2016, https://doi.org/10.5805/SFTI.2016.18.6.812
  3. Statistical Errors in a Research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2, pp.4,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4.485
  4.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vol.36, pp.11,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1.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