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Mixed

  • 장우석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 ;
  • 손광호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투고 : 2010.11.30
  • 심사 : 2011.01.06
  • 발행 : 2011.02.28

초록

After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since the 15th century and the rise of citizen consciousness in the 18th century, the library has taken a public concept. And after the 20th century, its role as a public library for the public was stressed, and as its spatial composition became miniaturized and specialized, its function changed from stacking and reading to various kinds including culture and service and is getting more complex beside the function of a library.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limitations of public libraries' opening years shown in advanced researches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patial composition by complexation with the subjects of five public libraries opened after the end of December, 2006 in order to examine their tendencies of complex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by the complexation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the present public libraries have at leaser more than two spaces with complex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ypes, locational relations between spaces showed the mixed type the most. In the types of building allocation, the building integrated type ha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separated type. About the types of entrance, the one common door type was fewer than the two separate door type. In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the interior line of flow, the common type was similar to the dispersed type, and it is thought to be resulted from spatial composition rather than the preplanned line of flow.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을 바탕으로 재구성
  2. 박인규, 공공도서관의 이용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1호, 2003
  3. 스가야 아카코,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 지식여행, 2004
  4. 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1994
  5. 은경원,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경향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6. 이상호 외 1명, 공공도서관 이용자 요구변화에 따른 공간구성 분선, 대학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1
  7. 이윤석,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센다이 미디어테크의 활성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8. 이재우, 공간변화에 대응 가능한 가변적 도서관 리모델링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6
  9. 이현철 외 3명, 프로그램 복합화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복합공간 관계 연구, 경북대학교, 2006
  10. 장아리 외 1명, 공공도서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6호 통권65호, 2007
  11. 장아리 외 2명, 공공도서관의 실내현황 및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4호 통권69호, 2008
  12. 정간훈 외 2, 사회적 기능과 역할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발표대회논문집 제 26권 제1호(통권 제50집), 2006
  13. 정현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유, 한국도서관협회, 2002
  14. 현규섭, 도서관문화 Vol.37 No.2, 유네스코 공공도서관선언의 개정과 의의
  15. 홍결철 외 1명, 지역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0
  16. 황미영, 다기능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4호 통권75호, 2009
  17. 헨리시캠벨, 공공도서관개발론, 구미무역출판부,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