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Non-sintered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source Recycling of the Flotation Tailings

부선(浮選) 광미(鑛尾)의 순환자원화(循環資源化)를 위한 비소성(非燒成) 토건재료(土建材料) 개발(開發)

  • Kim, Joo-Ik (Resources Processing and Recycling, Semyung University) ;
  • Jung, Moon-Young (Departmen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
  • Park, Jay-Hyun (Institute of Mine Reclamation Technology,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
  • Lee, Jin-Soo (Institute of Mine Reclamation Technology,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 김주익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순환처리) ;
  • 정문영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 박제현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 이진수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0.11.04
  • Accepted : 2011.01.06
  • Published : 2011.02.26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ycle flotation tailings as non-sintered construction materials considering the economic and eco-friendly treatment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dian $220\;{\mu}m$) of flotation tailings from Soon-shin mine was confirmed to be larger than that(median $140\;{\mu}m$) of tailings from Sam-kwang mine. Thus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non-sintered eco-brick producted with the tailings from Sam-kwang mine and non-sintered water permeable block producted with the tailings from Soon-shin mine. Compressive strength of non-sintered water permeable block which was made with less than 25 wt% of tailings from Soon-shin mine was met with products class(over 14.70 MPa) of water permeable concrete(EL 245) from KEITL. Meanwhile, the coefficient of its permeability wasn't met with the products class( over $1.0{\times}10^{-2}\;cm/sec$). The properties of non-sintered eco-brick with less than 40 wt% of tailings from Sam-kwang mine were satisfied with third class in sintered clay brick products standard(KS L 4201). The non-sintered eco-brick as a result of leaching test on heavy metals by KSLT was verified to be environmentally stabile.

부선 광미의 근원적 처리방안으로 경제성과 환경친화성을 고려히여 비소성 토건재료로 순환자원화 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순신광산 광미의 평균입도는 $220\;{\mu}m$이고 삼광광산 광미의 평균입도는 $140\;{\mu}m$이었다. 따라서 이들 광미의 입도 특성을 고려하여 순신광산 광미는 비소성 투수블록의 원료 그리고 삼광광산 광미는 비소성 에코벽돌의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시험체의 여러 특성을 조사하였다. 순신광산 광미 25 wt%이하의 배합조건에서 제조한 비소성 투수블록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에서 제시하고 있는 투수콘크리트 제품 규격(EL 245)인 14.70MPa 이상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투수계수 측정결과, 투수콘크리트 제품 규격(EL 245)인 $1.0{\times}10^{-2}\;cm/sec$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한편, 삼광광산 광미 40 wt% 이하의 배합조건에서 제조한 비소성 에코벽돌 시험체는 소성점토벽돌(KS L 4201) 3종 규격을 만족하였다. 또한 중금속용출시험(KSLT) 결과, 비소성 에코벽돌 시험체의 환경안정성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명채, 정문영, 2006: 국내 휴폐금속광산의 환경오염평가 및 향후 관리 방안,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3권(5), pp. 383-394.
  2. 채영배 등, 2001: 귀금속 광산폐기물로부터 유가자원 회수기술 및 공정개발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3. 양재의 등, 2006: 삼광광산 광미 및 침출수 처리방안 연구, 광해방지사업단.
  4. 이재령, 김영진, 김도형, 2010: 삼광광산 광물찌꺼기로부터 중금속 침출제거에 관한 연구, 광해방지기술, Vol. 4(1), pp. 25-35.
  5. 채영배, 정수복, 윤평란, 1999: 금광산 폐광미로부터 유가자원회수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리싸이클링. Vol. 8(3), pp. 37-42.
  6. 최연왕, 정문영, 1998: 중석광 폐광미를 활용한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제 35권, pp. 90-95.
  7. 최연왕, 정문영, 정명채, 구기정, 2004: 상동광산 광미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모르타르의 품질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6권(3), pp. 383-390.
  8. 박홍규, 유승우, 정문영, 2009: 금음몰리브덴광산 광미를 이용한 비소성 에코벽돌 개발,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6(2), pp. 135-142.
  9. Bayram Ercikdi, Ayhan Kesimal, Ferdi Cihangir, Haci Deveci, I brahim Alp, 2009: Cemented paste backfill of sulphide-rich tailings: Importance of binder type and dosag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1, pp. 268-274. https://doi.org/10.1016/j.cemconcomp.2009.01.008

Cited by

  1. Effects of quartz-based mine tailings on characteristics and leaching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vol.166, pp.None, 2011,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8.01.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