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Yoseon-Cheobli (腰線帖裵)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조선초기(朝鮮初期) 요선첩리(腰線帖裏) 재현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2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reproduction of Yoseon-Cheobli excavated from Byun-su tomb in earlier Joseon Dynasty. There are three Yoseon-Cheobli in Byun-su tomb. The producing process is made in concrete by suggesting the process of producing clothing.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most frequently recorded one, was reproduced by dying fabric with safflower and indigo plants.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ir specific size, sewing method and construction, it have been produc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revealing that collar to be half-square and to compose the line in the center of collar. The width of the collar is 11.6 12.1cm. Second, the 21~22 pairs of waist lines that are 13~14cm in width fixed at intervals of 0.3cm. The method of making waist lines is twisting either fabrics or silk threads. Third, fine gathering around the part of the waist of skirt, and the size of fold surface is 0.2cm. Sewing method needs running stitch and backstitch. As the result of producing the cloth, it became to possess more ornamental features after transformation suitable to the new environment while the same remained functional features for everyday life such as a dressing shape, length of the bodice and curvy completion line of a collar strip.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시

References

  1. 국립민속박물관 (2000).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원주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2. 권영숙, 이주영, 장현주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 복식과 고려 후기 의복의 특성. 성보문화재연구원.
  3. 정경임 (2003). 고려후기 요선첩리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최은수 (2003). 변수묘 출토 요선첩리에 대한 연구. 복식, 53(4).
  5. 김문숙 (2004). 몽골 요선오자의 구조적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6. 李德懋, 靑莊館全書, 卷之五十九 盎葉記,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minchu.or.kr
  7. 손경자, 김영숙(1982). 한국복식자료선집III. 교문사, p. 378.
  8. 김문숙 (2000). 고려시대 원간섭기 일반복식의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2.
  9. 경북대학교출판부 (2000). 元代 漢語本 老乞大, 26 뒤:06-08, p. 161.
  10. 경북대학교출판부 (2000). 元代漢語本老乞大, 33앞: 08-09, p. 165.
  11. 김이숙 (1996). 몽골세시풍속 연구. 중앙민속학, 8, p. 77.
  12. 이안나 (2005). 몽골인의 생활과 픙속. 첫눈에, p. 183.
  13. 朴在淵(2003). 老乞大․朴通事 原文․諺解 比較硏究.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p. 278.
  14. 국립민속박물관 (2000).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원주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p. 87.
  15. 최은수 (2003). 변수묘 출토 요선첩리에 대한 연구. 복식, 53(4). p. 164.
  16. 이은주 (1998). 김흠조(1462∼1528)분묘의 출토복식을 통해 본 조선전기의 염습의에 관한 고찰, 判決事金欽 祖先生합장묘 發掘調査報告書, 榮州市.
  17. 이은주 (1998). 이인손(1477-1543)묘의 출토복식. 고문화 5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8. 박성실 (1998). 坡州金陵里출토 慶州鄭氏유물 小考. 韓國服飾, 16,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19. 광주민속박물관 (2000). 광주.전남지역 출토 조선전기의 우리 옷
  20. 최은수 (2003). 변수묘 출토 요선첩리에 대한 연구. 복식, 53(4). p. 171.
  21. 심연옥 (2002). 한국직물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출판부, p. 69.
  22. 조미숙 (2004). 천연염색 연구동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p. 15.
  23. 이종남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천연염색. 현암사, p. 499.
  24. 조우현 (1989). 조선시대 상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솜텰릭(帖裏) 구성에 대하여. 복식, 52(8).
  26. 최혜선, 박진희, 이경미, 도월희, 김은경 (2001). 액티브 스포츠웨어 설계. 수학사, pp. 418-419.
  27. 최경진 (1991). 한복의 주름에 관한 연구. 복식, 16, p.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