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of Wood Color of Radiata Pine (Pinus radiata D.Don) by Press Temperature and Time

라디에타 소나무재의 압밀화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색상의 변화

  • Hwang, Sung-Wook (Dep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Hee (Dep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황성욱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 이원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5.02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This study was estimated the change of color of compressed wood by compression temperature and time. Wood color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er and evaluated by the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unit. As a result, the whit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mpression temperature. In contrast, redness and yellowne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mpression temperature. All of the color difference showed the 'Very Much' by NBS unit. The whit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mpression time. The redness and yellowness were insignificant effect on compression temperature.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compression temperature was much greater than compression time in the change of wood color.

라디에타 소나무(Pinus radiata D.Don) 열압밀화 목재의 압밀화 시간과 온도에 따른 재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재색을 측정하였으며,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에 의해 색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압밀화 온도의 증가에 따라 백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색차는 'Very Much (대단한 차)'로 나타났다. 압밀화 시간의 증가에 따른 재색의 변화는 압밀화 시간의 증가에 따라 백색도는 감소하였으나 감소폭은 온도에 의한 영향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와 황색도에 미치는 열 압밀화 시간의 영향은 미약하였다. 즉 압밀화 가열온도와 가압시간의 증가에 따라 재색의 암색화가 나타났으며, 재색변화에는 압밀화 시간보다 가열온도의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양, 이민경. 2006. 열처리에 의한 목재의 재색변화. 한국가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75-80.
  2. 강호양. 2008. 국산 침엽수재의 재색변화 기술 개발. 한국가구학회지 19(3): 156-162.
  3. 김광모, 박정환, 박병수, 손동원, 박주생, 김운섭, 김병남, 심상로. 2009. 삼나무 열처리재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목재공학 37(4): 330-339.
  4. 김광모, 박정환, 박병수, 손동원, 박주생, 김운섭, 김병남, 심상로. 2010. 백합나무 열처리재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목재공학 38(1): 17-26.
  5. 박병호, 김남훈. 2010.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 재색을 통한 공예적 가치평가. 한국가구학회지 21(5): 413-423.
  6. 신랑호, 한태형, 권진헌. 2010. 국내산 활엽수 열처리재의 재색변화에 따른 목재의 특성과 생활용품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지 21(1): 62-71.
  7. 한은주, 조주연. 2005.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한 실크의 3차원적 색차 분석. 한국디자인 문화학회지 11(2): 126-134.
  8. Kubojima, Y., T. Oktani, and H. Yoshihara. 2003. Effect of shear deflection on bending properties of compressed wood. Wood and Fiber Science 36: 210-15.
  9. Norimoto, M. 1993. Large compressive deformation in wood. Mokuzai Gakkaishi 39(8): 867-874.
  10. Tabarsa, T. 1995. The effects of transverse compression and press temperature on wood response during hot-pressing. M.Sc., thesis, The University of New Brunswick, Canada.
  11. Unsal, O., S. Korkut, and C. Atik. 2003.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properties and colour in Eucalyptus (Eucalyptus camaldulensis DEHN.) WOOD. Maderas. Cienciay Tecnologia 5(2): 145-152.
  12. Wang, J. M., G. J. Zhao, and I. Lida. 2000. Effect of oxidation on heat fixation of compressed wood of China fir. Forestry Studies in China 2(1): 73-79.
  13. Wang, J. and P. A. Cooper. 2005. Vertical density profiles in thermally compressed balsam fir wood. Forest Products Journal 55: 65-68.

Cited by

  1. Growth and Postharvest Freshness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f Vegetable as Affected by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vol.19, pp.1, 2012, https://doi.org/10.11002/kjfp.2012.19.1.019
  2. Change of Dimensional Stability of Thermally Compresse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Wood by Heat Treatment vol.43, pp.4, 2015, https://doi.org/10.5658/WOOD.2015.43.4.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