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양평 지평향교 대성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 Son, Byeong-Hwa (Tree-Ring Material Bank,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Hun (Department of Wood and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Nam, Tae-Kwa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Science,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wang-Hee (You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
  • Park, Won-Kyu (Department of Wood and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손병화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
  • 김정훈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 남태광 (충북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 이광희 (영남문화재연구원) ;
  • 박원규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Received : 2011.01.06
  • Accepted : 2011.04.19
  • Published : 2011.05.2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for the wood elements of Daesungjeon (main hall) in Jipyeong Hyanggyo, a Confucian shrine in Jije-myeon, Yangpyeong-gun, Gyeonggi-do, Korea. Major wood species for Daesung Hall was Pinus densiflora (88%) belonging to hard pine. The other species was P. koraiensis belonging to soft pine. One large beam and one collar beam with bark were dated to A.D. 1718 and 1720, suggesting either a large-scale repair or moving in 1720s as the record of an historical document 'Hakgyodeongrok'.

양평 지평향교 대성전의 목부재에 대한 수종 식별과 연륜연대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종과 건축역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목부재 49점 가운데 연송인 잣나무류로 식별된 창방 5점과 장여 1점을 제외한 43점은 경송인 소나무류였다. 그리고 5개 목부재에 대한 연륜연대가 측정되었는데, 수피가 있는 대보 1점과 종보 1점의 마지막 연도가 각각 1718년과 1720년(만재 형성 완료)으로 측정되어 "학교등록"에 수차례 기록되었던 지평향교 대성전의 이건이 1720년대에 실행되었거나 이건 없이 대규모의 중수가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aillie, M. G. L. 1982. Tree-Ring Dating and Archaeology. Croom Helm. London.
  2. Eom, Y. G., H. S. Kim, and G. Z. Xu. 2005.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of the Beomeo Temple. Mokchae Konghak 33(2): 1-7.
  3. 경기도 양평군. 2010. 경기도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지평향교. 선영건축사사무소.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서울.경기도의 향교건축. 일진사.
  5. 김세현. 2007. 한국의 유용수종 100선. 국립산림과학원.
  6. 박병수, 박정환. 2005. 주요 목조문화재의 수종구성. 국립산림과학원.
  7. 박상진. 1978. 고재의 구조와 수종식별(제1보)-제주도 지방에 있어서 조선시대의 목조건축재. 목재공업 6(1): 15-23.
  8. 박원규, 손병화, 한상효. 2003. 창경궁 통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방에서 마루로 변형된 시기규명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35: 53-63.
  9. 박원규, 윤두형, 박수현. 2006. 전주 마전유적 출토 목관재의 수종식별 및 연륜연대 분석. 목재공학 34(6): 12-20.
  10. 박원규, 이광희. 2007. 우리나라 건축물에 사용된 목재수종의 변천. 건축역사연구 50: 9-28.
  11. 엄영근, 오세창, 허광수, 김삼성. 2009. 경북 청도지역 19세기 고택 기둥의 크기와 수종식별. 목재공학 37(3): 177-183.
  12. 이창복. 1999. 신고 수목학. 향문사.

Cited by

  1.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Quercus acutissima and Climatic Variables by Dendroclimatological Method vol.17, pp.2, 2015, https://doi.org/10.5532/KJAFM.2015.17.2.93
  2.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Tree-Ring Growth of Larix leptolepis Distributed in Korea vol.105, pp.1, 2016, https://doi.org/10.14578/jkfs.2016.105.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