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리 관련 학과의 한식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 주요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food(Hansik) Curriculum of Culinary Art & Science related department - Focus on the mainly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

  • 정혜정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유학과)
  • Chung, Hea-Jung (Department of Culinary Arts Study Abroad, Woosong University)
  • 투고 : 2010.10.29
  • 심사 : 2011.01.07
  • 발행 : 2011.02.28

초록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Korean food (Hansik) Curriculum of Culinary Art & Science related department of mainly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study, we performed an analysis regarding curriculum data from the homepage of nine universitie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1) current status regarding Korean Food related curriculum, 2) a study on the Korean food related theoretical curriculum, and 3) a study on the Korean food related practical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st common opened curriculum was 'a study on the Korean food related practical curriculum'. The largest curriculum among 'a study on the Korean food related practical curriculum' was the Korean cooking skill of basic and intermediate. The following curriculum was the Korean traditional and royal cuisine related curriculum. These two curriculum were found based on data of Culinary related departments of mainly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To summarize these results, in the cases of the general culinary-related departments, Korean food-related classes will need expansion. In addition to Korean food-related departments, increasing the opening of classes to learn regarding Korean foods will b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숙, 전병길. (2008). 푸드 코디네이터와 푸드 스타일리스트의 직무 요건 및 교과 과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4(4), 317-328.
  2. 강재희. (2010). 조리실기과목에 대한 원격교육방법 활용 현황과 인식 조사 -서울.경기지역 외식조리관련전공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5(6), 661-670.
  3. 김갑영, 강경심. (2008).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조리과 학생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가정과학회지, 11(1), 103-115.
  4. 김두진, 채기수. (1996). 외식사업학과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9(3), 281-288.
  5. 김종덕. (2007). 한국의 시각디자인 교과과정 변화에 대한 분석. 디자인학연구, 20(3), 73-84.
  6. 김태형. (2002). 학기제와 블록식(Block) 교육과정 비교 연구 -조리관련학과 위주로-. 한국조리학회지, 8(2), 59-76.
  7. 김태형, 김원모. (2005). 효과적인 조리실습을 위한 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조리 관련대학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1(1), 1-17.
  8. 김태형, 나정기. (2008). 조리 실기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의사 소통 모형 개발 -구성주의 관점에서-. 한국조리학회지, 14(4), 14-26.
  9. 김형석. (2009). 국내 및 미국 일부 대학의 타이포그래피 기초 교과 과정의 비교와 특질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0(4), 53-61.
  10. 김희섭. (2010). 세계 식생활문화 교육과 철학. 2010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 나경하. (2005). 외식조리 교과과정 만족도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나영선, 정재홍, 강종헌, 이정훈. (1999). 전문대학 조리과의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5(2), 31-56.
  13. 나태균, 이선호, 박인수. (2004). 외식․조리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조리학회지, 10(3), 155-170.
  14. 농림수산식품부 한국식품연구원. (2008). 한식 마케팅 모형 개발 연구.
  15. 농림수산식품부 aT농수산물유통공사. (2008). 세계적 한식요리 아카데미 육성모델개발.
  16. 박경곤. (2007). 조리숙련형성 교육의 실무평가에 관한 연구: 조리전공 졸업생 및 재학생을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0(3), 219-243.
  17. 복혜자. (2004).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도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1), 74-82.
  18. 오익근. (2000). 내용분석의 관광연구 활동. 관광학연구, 24(1), 317-322.
  19. 윤민희. (2006). 디지털시대의 디자인대학 기초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1), 217-232.
  20. 윤민희, 이윤. (2006). 예술, 디자인대학 개설 이론교과목 교수법 연구 -기초교육과정 이론과목 및 디자인 전문영어 교과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2), 157-166.
  21. 윤지연, 홍완수, 김태희. (2007). 외식산업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공급자 관점에서). 대한가정학회지, 45(1), 91-99.
  22. 이경은, 김영국. (2008). 내용분석을 통한 외식산업에서의 서비스품질의 영향분석: 소비자와 연구자의 인식의 차이. 외식경영연구, 11(4), 7-30.
  23. 이규진, 조미숙. (2008). 뉴욕타임즈의 한국음식점리뷰기사 분석. 외식경영연구, 11(1), 281-306.
  24. 이숙영. (2004). 시대 변화에 따른 식품영양학과의 교과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20, 135-154.
  25. 이순영, 황미경, 전연숙. (2010). 4년제 미용관련 대학교의 교육과정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6(3), 784-789.
  26. 이순희, 김순옥, 오지영. (2009). 미용대학 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5(1), 168-183.
  27. 이인성, 이경래. (2010). 한식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교과 과정 만족도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16(1), 50-60.
  28.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2010, 7. 02). 이화여자대학교, 자료검색일 2010, 7. 02, 자료출처 http://nsfm.ewha.ac.kr/01hakwha/03history.asp
  29. 장명희. (2005). 조리교육의 운영 실태와 체계적인 조리 인력 양성 방안. 한국조리학회지, 11(2), 48-66.
  30. 정유경, 정원희, 김영갑. (2007). 외식경영관련 학술지논문의 동향분석: 외식경영연구 학술지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0(2), 73-91.
  31. 정혜경. (2007). 한국음식 오디세이. 서울: 생각의 나무.
  32. 정혜경. (2009). 천년한식견문록. 서울: 생각의 나무.
  33. 정효선, 윤혜현. (2004). 산학실습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리학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3(2), 257-275.
  34. 주나미, 윤지영, 김옥선, 정현아, 박상현, 고영주, 조기원. (2005). 식품영양학 전공자를 위한 인턴십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 68-76.
  35. 최현주. (2006). 외식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및 외식관련학과 교과과정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홈페이지. (2010, 7. 02). 한국식품조리과학회, 자료검색일 2010, 7. 02, 자료출처 http://society.kisti.re.kr/-kfcs/html/sub1_03.htm
  37. 한국전통음식연구소. (2008). 아름다운 한국음식 300선. 서울: 질시루.
  38. 한국조리학회 홈페이지. (2010, 7. 02). 한국조리학회, 자료검색일 2010, 7. 02, 자료출처 http://www.culinary.re.kr/1s_03.html
  39. 한복려, 정길자. (2004). 조선왕조 궁중음식. 서울: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
  40. 한복진. (2001). 우리 생활 100년 : 음식. 서울: 현암사.
  41. 한식 조리 특성화 대학 사업기관 모집공고. (2010, 6. 15). 농림수산식품부 aT농수산물유통공사, 자료검 색일 2010, 7. 02, 자료출처 http://www.at.or.kr/tp0100/tp0102/tp0102.jsp
  42. 황지희, 김윤성. (2004). 전문대학의 푸드스타일리스트과의 교육형태와 학습자 만족도에 관한 고찰. 한국조리학회지, 10(3), 51-64.
  43.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서혜경. (1997). 한국음식의 대관 제6권. 서울: 한림출판사.
  44. Holsti, O. R. (1968). Content Analysis, in: Lindzey, G. & Aronson, E. (eds), The hand 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Reading, MA. Addison-Wesley. NY: Free Press.
  45. Kassarjian, H. 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2), 8-18. https://doi.org/10.1086/208674
  46. Krippendorff K.(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피인용 문헌

  1. Recognition and Propagation for Temple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vol.23, pp.2, 2018, https://doi.org/10.5720/kjcn.2018.23.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