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본생활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and Young Children's Basic Habits Development

  • 투고 : 2010.11.23
  • 심사 : 2011.01.11
  • 발행 : 2011.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ir children's basic habits and how that effected their children's basic habit development,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24 parents whose children were three to five years old, attending seven nurser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the parent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As children were older, parents thought that children's basic habits got more import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other or father's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basic habit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s' recognition and the teacher's rating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basic habits based on the children's age. In conclusion, the mot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ir children's basic habits with younger children was mo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basic habi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규수. (2000).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기본 생활습관 형성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229-252.
  2. 김민정. (2007). 그림책을 통한 기본생활습관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석사학위논문.
  3. 김재은. (1994). 한국가족의 문제. 가정의학회지, 15(1), 705-713.
  4. 김재은, 이성진. (1980). 유아교육전서, 4. 서울: 배영사.
  5. 김제봉. (1996).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주영, 문혁준. (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이 유아의 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1), 13-22.
  7. 김해영.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의 관계. 아동연구, 15(1), 22-48.
  8. 데이터뉴스. (2008, 5. 23). 아버지 21%, 자녀교육에 '바짓바람'. 자료검색일 2009, 5. 20, 자료출처 http://www.datanews.co.kr
  9. 박옥희. (2000). 유아의 발달수준과 기본생활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석수영. (1997).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정도에 따른 기본생활교육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송세정. (1999).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 습관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엄세진. (2007). 아동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8(6), 103-118.
  13. 이미영. (2007). 대집단에서의 동화읽기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도덕적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숙희, 강병재. (2002).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유아의 발달 수준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2), 243-258.
  15. 이옥경. (2002). 과제의 특성에 따른 유아와 아동의 친사회적 도덕추론과 친사회적 의사결정 및 어머니의 친사회적 도덕추론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화여대사범대학 부속유치원. (1995). 기본생활습관 평가도구 개발. 이화여대사범대학 부속유치원.
  17. 이희선. (1997).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부모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11, 205-219.
  18. 정경미. (2002). 유아의 기본생활교육 및 수행을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근수. (2000). 유아의 기본생활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정금자, 권은이. (2006). 몬테소리 일상생활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 정신지체연구, 8(1), 103-122.
  21. 정현열. (2001). 부모교육프로그램이 학부모의 기본생활 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최지희. (200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최호중, 김설한, 김성재. (2009).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른 유아의 신체건강과 관련한 기본생활습관의 차이 분석.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33-55.
  24. 한국일보. (2007, 10. 29). 얘들아 이제는 아빠하고 놀자, 자료검색일 2009, 5. 20, 자료출처 http://www.hankooki.co.kr
  25. 한경원. (2009).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Elkin, D. (1978). Miseducation Influ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Alfred A. knopt.
  27. Erickson. E. H. (1974). Dimensions of a new identity: The 1973 Jefferson lectures in the humanities. New York: Norton.
  28. Parke, R. D. (1981). Fatherhood Realities. Fathering.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