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ity Rhinoreaction Research of the Corn Feed for the Heavy Metal Removal of the Pig Ordure Sludge Using the Citric Acid and Stability Evaluation

구연산을 이용한 돈분슬러지의 중금속 제거 및 안정성평가를 위한 사료용 옥수수의 시비반응 연구

  • Oh, Tae-Seok (Department of Plant Resour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Department of Plant Resour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Bong-Su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 오태석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 김창호 (공주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 최봉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1.09.15
  • Accepted : 2011.11.2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study which it sees exclusions the copper and the zinc which contain in pig sludge, It study pig sludge resources fertilizer production which are rational, pig sludge resources fertilizers after seeding, silage corn it investigates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value, the result which investigates pig sludge resources fertilizers effectiveness with afterwards is same. With fertilizer ingredients in pig sludge chemical qualities, the content of the nitrogen and the phosphoric acid comes 4.4% to be 6.29%, pH 7.02 and content of the copper and the zinc which is a heavy metal which contains in pig sludge with 805 mg/kg and 1,704 mg/kg, it is a restrictive standard of the fertilizer, 300 mg/kg and 900 mg/kg it sees to be high, it manufactures citric acid 1 hydrate with the organic acid solution, heavy metals of pig sludge where it is a mixture ratio of the organic acid solution, it divides to 25%, 50%, 75% and 100% 4 kind levels, the result which measures the heavy metal exclusion ratio of the copper and the zinc, the mixture ratio of the organic acid solution to be many exclusion ratio of the copper and the zinc is showing a just interrelation, from organic acid solution 100% level content of pig sludge remains copper and zinc 330.03 mg/kg and 41.28 mg/kg, it shows the exclusion ratio of copper 59% zinc 97%. 'Cheonganok' growth characteristics with citric acid 1 hydrate, Treatment 2 and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etc, it exclusion the copper and the zinc it doesn't appear on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reatment 3 after only pig sludge in resources disposal where it seed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leaf area etc. is badness, it compares in control and treatment 2 the growth characteristics badness, it is appearing, it is caused by with disease and insects occurrence of $Ostrinia$ $furnacalis$ and brown spot, the damage was many. From forage value, Treatment 2 where it exclusion the heavy metal with the citric acid 1 hydrate with control it compares and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rude protein and ADF and NDF contents etc., seeding only Pig Sludge in resources disposal treatment 3, it is caused by with $Ostrinia$ $furnacalis$ etc., trunk and aging of the leaf to be high ADF content is low. but from crude protein, the nitrogen ingredient which pig sludge has and interrelation it seemed and high numerical value were confirmed.

본 연구는 돈분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와 아연을 제거하여 합리적인 돈분슬러지 자원화비료 생산법을 연구하였고, 돈분슬러지 자원화비료를 시비 후 사일리지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돈분슬러지 자원화비료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돈분슬러지의 화학적 특성으로 질소와 인산의 함량은 각각 4.4와 6.29%였으며, 구리와 아연의 함량은 각각 805와 $1,704\;mg\;kg^{-1}$이었다. 구연산을 유기산 용액으로 제조하여 돈분슬러지의 구리와 아연 제거율은 유기산용액의 혼합비율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유기산용액 100% 수준에서 구리는 59%, 아연은 97%까지 제거하였다. 구연산으로 구리와 아연을 제거한 후 퇴비화과정에서도 처리구 2는 15일 후 발아지수가 100으로 가장 높았고 처리구 3이 80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자원화비료로 생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돈분슬러지로 제조된 자원화비료를 시비한 후 재배한 옥수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 1과 2는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돈분슬러지만을 자원화한 뒤 시비한 처리구 3에서 엽면적 등의 생육특성이 불량하였으며 조명나방과 깨씨무늬병의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많았다. 옥수수의 사료가치 측면에서 처리구 2는 ADF, NDF 및 조단백질 함량이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처리구 3은 줄기와 잎의 노화정도가 높아 ADF 값이 낮았으나 돈분슬러지가 가진 질소성분과 정의상관관계를 보인 조단백질 함량은 다른 처리구 보다 높았다. 안정성측면에서는 구리와 아연이 제거된 처리구 2의 토양은 처리구 3 보다 구리의 경우에는 44%, 아연의 경우에는 19% 수준으로 낮았고 옥수수내의 구리와 아연의 함량도 처리구 3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처리구 2와 처리구 3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길. 1991. 화산회토에 있어서 인산시비량이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6:52-56.
  2. 김두환. 1997. 산업폐기물의 수분조절제 대체가 양분 분뇨의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설환경학회지 3:19-26.
  3. 김창호, 박상철, 이효원. 1998. Silage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수량 및 생육해석의 품종간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18:79-88.
  4. 김성현, 이인숙. 2004. 구리 내성 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7(1):43-47. https://doi.org/10.5141/JEFB.2004.27.1.043
  5. 농림부. 2007. 가축통계.
  6. 농림부. 2005. 축산환경 시책 및 기술자료.
  7. 농촌진흥청. 2009. 공고 제2009-56호(비료의 품질검사).
  8. 농촌진흥청. 2002. 표준영농교본.
  9. 박상원, 윤미연, 김진경, 박병준, 김원일, 신중두, 권오경, 정덕화. 2008. 탑라이스 생산지역 논토양 중 중금속 함량과 쌀의 안전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23 no.3 pp. 239-247.
  10. 박용하, 서경원. 2006. 휴, 폐금속 광산지역의 토양오염관리정책의 평가. 지하수토양환경 11:1-11.
  11. 손범영, 문현귀, 정태욱. 2006. 국내육성 사일리지옥수수의 일반생육특성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비교. 한국작물학회지 51(3):19-25.
  12. 이기철, 강순기, 공성호. 1998. 저분자량 유기산 세척을 이용한 오염토양으로부터의 Cu 제거에 관한 연구.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pp. 30-36.
  13. 이정철, 이시래, 이완희, 서정근, 김정우. 2000. 가축분뇨를 이용한 기능성 원예배양토 개발-배양 토의 혼합비율이 Tagetes 'Orange Boy'와 Brassica 'JeungII-Poom'의 plug seedling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2000년 학술발표 논문집 pp 51-57.
  14. 이상철. 2007. 자연순환형 친환경 축산정책 방향. 한국종축개량협회. pp.38-43.
  15. 최상집. 1990. 남부지방에서 옥수수와 수수의 사일리지 생산성.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동윤, 노재승, 이상철. 2006. 양돈분뇨 액비를 이용한 경종농가의 작물재배실태조사. 축산시설환경학회지 12:141-150.
  17. Aldrich, S.R., W.O. Scott and R.G. Holeft. 1986. Modern comproduction. 3rd ed., A&L Publications, Champaing, Illinois.
  18.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19. Beauchamp, E.G. 1983. Response of corn to nitrogen in preplant and sidedress applications of liquid cattle manure. Can. J. Soil Sci. 63:377-386. https://doi.org/10.4141/cjss83-036
  20.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DA, Washington, D.C
  21. Holl, C., W. Kezam,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erd Int. Des Moines, IA.
  22. Jokela, W.E. 1992. Nitrogen fertilizer and dairy manure effects of corn yield and soil nitrate. Soil Sci. Soc. Am. J. 56:148-154. https://doi.org/10.2136/sssaj1992.03615995005600010023x
  23. Reilly C. 1991. Metal contamination of food. 2nd ed.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New York, USA. p 5-21.
  24. Paul, J.W., Beauchamp, E.G., Whiteley, H. and Sakupwanya, J. 1990. Fate of manure at the Arkell and Elora Research Station 1988-1990. Omtario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od, Toronto, ON. Special Research Contract.
  25. Riffaldi, R., R. Levi-Minzi A. Pera and M. de Bertoldi. 1986.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by Means of Chemical and Microbial Analyess. Waster Management & Research 4:387-396. https://doi.org/10.1177/0734242X8600400157
  26. Sugahara, K., S. Koga, and A. Inoko. 1984. Color Change of straw during composting. Soil Sci. Plant Nutr. 30(2):163-173. https://doi.org/10.1080/00380768.1984.10434680
  27. Zucconi, F., A. Pera, M. Forte, and M. de Bertoldi. 1981. Evaluating toxicity of immature compost. Biocycle 22:54-57.
  28. 최채만, 최은정, 김태랑, 홍채규, 김정헌. 2010. 서울에서 유통 중인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12):1873-1879. https://doi.org/10.3746/jkfn.2010.39.12.1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