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scription about Archival Materials in Film Archives

영화 기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Archival materials in film archives is a memories and archival documents of human which is generated from cultural activities of human being, and provided long-term relevant information. However, it is different general public audio-visual records because main purpose of representing culture to create the contents of private sector rather than evidence of the factual information of public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should determine the description principle and rule in order to reflect specific physical,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So as to control the description, that is need in the textual standards to base the specific purposes and rules thus analyzed the international description standards as Dublin Core, ISAD(G), FIAF Cataloguing Rules For Film Archives. As a result, more effectively to describe archival materials in film archives required significant modifications in the organizations of the areas and the elements. This study argues that first, to divide existence the concept and the reality (work/item) of archival materials in film archives. Second, to need understanding and indicating their content, context, structure. Third, to establish of the areas and the elements including a characteristic of it. The final suggestion organizes separately to 6th and 8th areas, 22th and 25th elements in two parts. This conclusion does not prepare to refer the status and/or policy of a particular film arhicve, can be set accordingly to a specific elements or sub-elements by the film archives.

영화 기록은 인간의 문화 활동에서 만들어지고 그에 관련된 정보를 장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류의 기억이며 기록이다. 다만, 영화 기록의 주된 생성목적이 공공 업무활동의 사실적인 내용을 증거하는데 있다기 보다는 민간의 문화적인 창작 내용을 재현하는데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공공분야의 시청각기록과는 차이가 존재한다. 그렇기에 영화 기록 특유의 물리적 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기술 원칙과 규정을 제정해야 한다. 기술 업무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목적과 규칙에 기반한 문서화된 규칙이 필요하므로 더블린 코어, ISAD(G), FIAF Rules라는 관련 국제 기술 규칙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화 아카이브의 기록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영역과 요소의 구성에 중대한 변화를 줄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기록을 작품과 개별 자료라는 관념적인 존재와 실제적인 존재로 구분 하는 것이다. 둘째, 영화 기록의 내용, 맥락, 구조를 이해하고 반영하는 것이다. 셋째, 영화 기록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영역과 요소를 설정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영역 및 요소는 2개 부분에서 각각 6개 및 8개 영역, 22개 및 25개 요소이다. 이 영역 및 요소(안)은 특정 영화 아카이브의 현황이나 정책을 참고하여 작성된 것이 아닌 일반형이기에 해당 영화 아카이브별로 특정한 요소나 하위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Keywords

Cited by

  1.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