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Learne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Regarding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효과 분석

  • 김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최석윤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0.03.30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1.03.28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studen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regarding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where students are using educa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to enhance the educational support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requirement for improve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chool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 to enhance the services appropriate for each school level rather than unified services. In other words, the improvement is required to enhance the fun and interesting aspect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ort is required to enhance the quality aspect of inform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en educa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본 연구는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교육정보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지원센터가 학생에 대한 교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부분의 개선이 필요한지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분석 결과, 각 학교급에 따른 만족도와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개선에 대한 요구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학습지원센터는 일원화된 서비스 체계보다는 학교급에 적합한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교육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초등학생과 중학생에게는 재미와 흥미를 강화할 수 있는 개선이 요구되며, 고등학생에게는 정보의 질적 측면을 강화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디지털시대의 학습테크놀로지, 문음사, 2006.
  2. 이은권, 이자희, 이만호, "초등학생 글쓰기 능력향상을 위한 학습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372-38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4.372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4. 정성무, 이승진, 안태숙, 김자미, 2008년도 에듀넷 활용실태.효과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5. ‘Australia's Digital Economy: Future Directions-Final Report,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Broadband, Communications and the Digital Economy, 2009. http://www.dbcde.gov.au/digital_economy/final_report
  6. 대구교육정보원, 에듀나비 구축을 위한 기본 구상, 대구교육정보원, 2009.
  7. 대구교육정보원, 대구 e-교육포털, 대구교육정보원, 2008.
  8. 강원도교육정보원, 강원도 교육포털, 강원도교육정보원, 2008.
  9. 경북교육정보원, 경북 교육포럴 기능강화, 경북교육정보원, 2008.
  10. Museum & Education Digital Content Exchange Final Report, TLF_MEDCE_REPORT_V1-0Final.DOC, Cuniculum corporation, 2009. http://www.thelearningfederation.edu.au/verve/resources/TLF_MEDCE_Report.pdf
  11. 김자미, 김홍래, 김현철, 김정훈, "학생.교사.학부모의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지표 및 준거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2009.
  12. W. V. Grembergen,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and management. Idea Group publishing, 2001.
  13. J. Nielsen, & H. Loranger, Prioritizing Web Usability, New Riders Publishing, 2005.
  14. http://www.edna.edu.au
  15. http://www.educationau.edu.au

Cited by

  1.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Employees: A Cas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vol.14, pp.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