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mpirical Study for a Current Condition of Gallery in Daejeon Region -Focus on the Gallery in Daejeon Old Urban Center-

대전지역 갤러리의 현황분석에 대한 실증 연구 -대전의 원도심권 갤러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1.03.08
  • Published : 2011.03.28

Abstract

A gallery provides the function to make opportunities for artist to meet the customers who would buy the products from them. And there was performed the place where artist who production provider, planner, managers and private collectors met to distribute artworks and to educate fine art for public and provide a chance sending leisure time. We investigated this galleries at old urban center in daegeon region by the deep interview and Delphi method. A galleries was operated by a sense of duty and pride. Though its environment is poor, it grows up the young artist and art trends. By delphi results, the role of gallery is recognized as the discovery of an unknown young artist and provider of art trend and paradigm. Also they was recognized as the space for social and cultural responsibility operation culture. Galleries was recognized as key factors as literary value, marketability and harmony between gallery and artworks. Artist was known as a key factors as gallery's expertise, gallery awareness and capacity for artworks selling. Gallery will be considered the functions as the various cultural experience space and culture service space. Although galleries are passive and one dimensional functions.

갤러리는 미술작품을 소통을 목적으로 생산 공급자인 작가와 중개자인 기획자, 경영자 그리고 수요자인 소장자, 대중의 만남을 이루고 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갤러리에 대한 대전지역의 현황을 원도심을 중심으로 한 현황분석과 그들의 기능적 역할을 심층면접 및 3차에 걸친 델파이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대전지역의 원도심에서 운영되고 있는 갤러리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그들의 사명감과 자부심으로 지역의 젊은 작가와 미술트랜드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델파이 조사의 결과 갤러리의 역할은 지역작가 발굴과 미술 트렌드와 패러다임에 대한 제공 및 사회적, 문화적 책임을 수행하는 문화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갤러리 측면에서 작품의 선정요인으로는 작품성, 시장성 및 갤러리와의 조화를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작가의 측면에서는 갤러리의 전문성, 갤러리의 인지도 및 작품 판매 능력을 중요한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 갤러리들도 수동적이고 1차원적인 기능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 체험의 공간으로써, 문화 서비스 공간으로써의 기능을 고려해야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미술시장 내에서 갤러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Vol.10, 2006.
  2. 민소영, "한국 화량의 기능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석론, 2001.
  3. 이영주, 소규모 갤러리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구성 특성에 관현 연구,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5.
  4. 권선정, 근대포시 대전 원도심의 역사와 장소성, 대전문화연대 자료집, 2009.
  5. 이동일, 미술시장 현황분석을 통한 국내갤러리 운영 활성화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 이동주, 한국회화사론, 열화당, 1987.
  7. 한국문화예술경영, 예술경영, 문예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1987.
  8. 김성희, 갤러리 브랜드와 만족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본 미술시장의 활성화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9. 김선미, 대전예술의 형성과 투성 : 해방이후에서 지할시 승격전까지, 인문과학논문집, Vol.31, 2001.
  10. 조상영, 대전현대미술의 패러다임, 다빈치기프트, 2009.
  11. 고정완, 미술시장 현황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예술경영지원센터, 2007.
  12. 문화연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9.
  13. http://www.daejeon.go.kr
  14. http://100.naver.com/100.nhn?docid=172669
  15. Encyclopedia America International Edition
  16. 충청투데이, 2003. 06. 20.
  17. 대전미술협회 홈페이지, http://djar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