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Lower Duration Curve Characteristic by Reservoir and Weir Couple-operating System in Geum River Basin

금강수계 댐과 보의 운영에 의한 하류 유황특성 연구

  • 안정민 (K-water 물관리센터 물관리기획팀) ;
  • 차기욱 (K-water 수자원사업처 수자원계획팀) ;
  • 류경식 (K-water 연구원 수자원연구소 글로벌연구팀) ;
  • 류시완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7.23
  • Accepted : 2011.03.2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effects of downstream control point by coupled operation of dams and multi function weirs in the Geum River. Geum river basin that study area did authoritativeness high quality data to acquisition possibility. We applied the flow duration curve, flow regime coefficient, impounded flow index analysi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changes in natural flow regimes. In sphere that water supply is possible, this study applied believability that satisfy 95% at estimation year. Impounded flow index was calculated 0.292 by dam coupled operation and 0.297 by dam-weir coupled ope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orage amount is increased by 29.7% as being added. Duration flow of downstream control point was improved because became coupled operation by regulation of dam and weir in the geum river.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수자원 부존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각 댐의 저류량, 수요에 대한 용수공급량 및 하천유지용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댐 상 하류간의 연계운영 모형을 이용하여 연계운영 효과를 분석하고 댐과 보의 최적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단의 수문학적 거동 특성 변화를 검토하여 댐운영 개선방안 도출 등 다양한 하천관리 개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유역은 신뢰성 높은 수문자료를 획득 가능한 금강 수계 유역으로 하였으며 수문자료는 순물소모량을 감안한 '67~'06년(40개년) 유입량(수자원장기종합계획, 2006)을 유역의 일유입량으로 변경하여 적용하였다. 연계운영 시 네트워크상에서 용수공급 가능한 범위는 연평가시 95%를 만족하는 신뢰도를 적용하였으며 기존에 건설된 용담, 대청댐에 의해 구해진 저수지수는 0.292로 산정되었고 향후 추가될 금남, 금강, 부여보에 의해 재산출된 저수지수는 0.297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29.2%를 저류할 수 있는 상태에서 보가 추가되면서 29.7%로 저류량이 증가됨을 나타낸다. 규암지점의 유황변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각 단계가 증가할수록 저수량 $Q_{275}$과 갈수량 $Q_{355}$은 증가하고 풍수량 $Q_{95}$과 평수량 $Q_{185}$은 감소하여 대상지점의 유황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갈수량의 경우 댐과 보에 의해 통제가 되지 않은 수치 보다 댐-보연계 시 $16.3m^3/s$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연상태의 유황보다 댐연계 및 댐-보 연계운영에 의해서 유황이 안정되고 이로 인해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용수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규, 이동률, 문장원, 최시중(2010). “금강 유역의 댐과 물이용에 의한 유황의 변동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4호, pp. 325-336. https://doi.org/10.3741/JKWRA.2010.43.4.325
  2. 건설교통부(1998). 기존댐 용수공급 능력조사(금강수계), pp. 662-790.
  3. 건설교통부(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 고익환, 김정곤, 박상영(2009). “댐 운영을 고려한 금강의 생태.수문학적 변화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호, pp. 1-8.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1
  5. 김재철, 김상단(2007). “오염총량관리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 유황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3호, pp. 332-338.
  6. 김주철, 이상진, 신현호, 황만하(2008). “유황곡선의 거동 특성을 이용한 유역관리모형의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4호, pp. 573-580.
  7. 류관형, 정건희, 이정호, 김중훈(2009). “Hedging Rule을 이용한 댐 연계 운영 최적화: 한강수계 사례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8호, pp. 643-657. https://doi.org/10.3741/JKWRA.2009.42.8.643
  8. 박상덕(2003). “자연하천의 무차원 유황곡선.”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36(1), pp. 33-44. https://doi.org/10.3741/JKWRA.2003.36.1.033
  9. 윤용남(2007). 수문학. 청문각 pp. 848-849.
  10. 이진원, 김형섭, 우효섭(1993). “댐건설로 인한 5수계 본류의 유황변화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권, pp. 79-91.
  11. Batalla, R.J., Gomez, C.M., and Kondolf, G.M. (2004). “Reservoir-induced hydrological changes in Ebro River basin (NE Spain).” Journal of Hydrology, Vol. 290, Issues 1-2, pp. 117-136. https://doi.org/10.1016/j.jhydrol.2003.12.002
  12. Jay R.L. (1999). “Some Derived Operating Rules for Reservoirs in Series or in Parallel.”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3. Maidment, D.R. (1992). Handbook ofHydrology. McGraw-Hill, pp. 18.53-18.54.
  14. Open, M. (2010). “Irrigation-energy management using a DPSA-based optimization model in the Ceyhan Basin of Turkey.” J. Hydrol., doi:10.1016/j.jhydrol.2010.03.003
  15. Sylla, C. (1994). “A penalty-based optimization for reserovirs system management.” Computers ind. Engng, pp. 409-422.
  16. Thomas, A., Daniel, P.L., Dirk, S., and Michael, D. (2000). “REAL-TIME MODELING FOR NAVIGATION AND HYDROPOWER IN THE RIVER MOSE”.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pp. 298-303.

Cited by

  1. Analysis of the Coordinated Operation of Reservoirs and Weirs during the Management of Nakdong River Water Resources vol.143, pp.8, 2017, https://doi.org/10.1061/(ASCE)WR.1943-5452.0000780
  2. Assessing Future River Environments in the Seomjin River Basin due to Climate Change vol.143, pp.5, 2017, https://doi.org/10.1061/(ASCE)EE.1943-7870.0001188
  3. Assessment of Future River Environ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Basin Runoff Characteristics vol.47, pp.3,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3.269
  4. A Study on Efficiency of Water Supply through Conjunctive Operation of Reservoirs and Multi-function Weirs in the Nakdong River vol.30, pp.2, 2014, https://doi.org/10.15681/KSWE.2014.30.2.138
  5. Evaluation of dams and weirs operating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the Geum River vol.478, 2014,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4.0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