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s Using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지역 환경 자원을 활용한 환경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 Received : 2010.10.14
  • Accepted : 2011.01.2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environmental expression programs using environmental resources of the areas in which students live so that it verified the effects by developing environmental expression programs using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and then teaching the programs to local stud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s using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econd, the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the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09, 제주도 지역 환경 자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고학년 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환경교육, 22(3), 72-82.
  2. 권중희, 2001, 생태체험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행동변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김대희, 2006, 순천지역 학교에서 실시하기 적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헙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59-177.
  4. 김영용, 송경욱, 2004, 초등학교에서 환경체험학습이 환경 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7(1), 93-112.
  5. 김인호, 남상준, 이영, 1999,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장체험 학습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12(1), 294-310.
  6. 남경희, 이성희, 2010, 초등환경교재 ‘환이랑 경이랑 함께 가꾸는 초록 서울’ 개발 및 환경소양도 검증, 사회과교육, 49(1), 15-26.
  7. 남상준, 2005, 한국의 환경교육 연구․실천 경향의 분석: 변천 모형 및 유형의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 187-196.
  8. 노경임, 2000, 환경관 분석 틀의 개발 및 환경관에 따른 인식 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9. 박기학, 2008, 환경쟁점수업이 대학생의 환경소양 신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3(4), 1-11.
  10. 박미선, 2002, 한강 시민공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1. 박진희, 장남기, 1998, 환경소양의 정의와 관련연구에 관한 분석, 환경교육, 11(2), 83-101.
  12. 박태윤, 최석진, 이동엽, 정완호, 최돈형, 노경임, 2002, 환경교육학 개론, 서울:교육과학사.
  13. 박성진, 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 친화적 행동과 관련 변인,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14. 신동희, 이제선, 2003, 고등학교 과학 “환경”단원 수업에서 NIE의 효과, 한국교육학회지, 23(6), 599-607.
  15. 안만홍, 2006, 지방자치단체의 체험환경교육 시행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16. 이기복, 정지윤, 2004, 초등사회과 환경교육 연계성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논문집, 6, 37-65.
  17. 이동엽, 김희철, 박만근, 안아영, 이지숙, 이지희, 정철, 2007, 지역기반 환경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0(1), 19-27.
  18. 이재혁, 노수홍, 최석진, 2009, 도시 공원에서의 체계적인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남산 야외식물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1), 73-87.
  19. 장경애, 차희영, 2006, 강화 남단 갯벌에 적용 가능한 탐조 활동 중심의 생태 체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39-452.
  20. 조태호, 서승조, 백남권, 김성규, 박강은, 박원석, 2002, 초등학교의 과학과 환경교육에 대한 실태분석 및 인식도, 한국환경과학학회지, 11(7), 611-620.
  21. 천정길, 2005, 환경도서를 활용한 독서.논술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2. Chawla, L., 1998,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Revisited: A Review of Research on Source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11-21. https://doi.org/10.1080/00958969809599114
  23. Dunlap, R. E., Van Liere, K. D., Mertig, A. G., Jone, R. E., 2000, Measuring Endor-Sement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 Revised NEP Scale, Journal of Social Issues, 56(3), 425-442. https://doi.org/10.1111/0022-4537.00176
  24. Hungerford, H. R., Volk, T. L., 1990,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oronmental Education, 3, 7-15.
  25. Gayford, C. G., 2002, Environmental literacy: Towards a shared understanding for science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0(1), 99-100. https://doi.org/10.1080/02635140220130957
  26. Manolim, C., Johnson, B., Dunlap, R. E., 2007, Assessing children's Environmental Worldviews: Modifying and Validating the New Ecological Paradigm Scale for use with childre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8(4), 3-13. https://doi.org/10.3200/JOEE.38.4.3-13
  27. Simmons, D., 1998, Using Natural Setting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23-31. https://doi.org/10.1080/00958969809599115
  28. Stables, A., Bishop, K., 2001, Weak and strong concep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7(1), 89-97. https://doi.org/10.1080/13504620125643

Cited by

  1. Grades - vol.33, pp.3, 2014, https://doi.org/10.15267/keses.2014.33.3.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