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체계적 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투고 : 2011.11.29
  • 심사 : 2011.12.24
  • 발행 : 2011.12.31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al behavior. Methods: This data collected compared 163 students who implemented the seventeen systematic health education behaviors with147 students who did not implement the behaviors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The health knowledge scores for the implemented group was $18.45{\pm}3.04$ but $15.29{\pm}4.55$for the nonimplemented group. The scores for the implemen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7.26, p<.001). The scor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the implemented group was $4.26{\pm}0.41$ and was higher also compared with the scores for the non-implemented group $3.85{\pm}0.50$. The scores for the implemen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3.43, p<.001). The implemented group showed higher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an the non-implemented group. Conclusion: Becaus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tudent'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chool health teachers need to maintain and progress continuous systematic health education in their school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은종(2011). 보건교과 내용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차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춘천.
  2. 김미숙(2006).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건강행위 인지도와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서울.
  3. 김미악(2009). 중 ․ 고등학교의 보건교육 편성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 창원.
  4. 김 숙(1999). 양호교사에 의한 정기적 보건교육이 아동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47, 광주.
  5. 김영복, 위자형(1997). 단기보건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생 보 건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4 (1), 11-21, 7-43.
  6. 김유미(2010).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 광주.
  7. 김은영(2001). 보건교과서에 근거한 보건교육이 고등학생의 건강지식, 건장증진행위,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43, 광주.
  8. 김은정(2010). 제7차 중학교 교육과정의 보건인정도서 및 보건 관련 교과의 보건교육 내용 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 부산.
  9. 김현섭,김영임(2010). 학령기 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3 (1), 1-10, 3-4.
  10. 송명희(2005). 건강증진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 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p.43- 64
  11. 신미경(2008).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 청원.
  12. 안현숙(2010). 초등학교 보건교육 내용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 청원.
  13. 유은화(2010). 2008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보건교육운영에 대한 보건교사의 인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부산.
  14. 윤석현(2004). 초등학교 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서의 보건영역 지도 실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 청원.
  15. 이영수(2009). 보건교사의 체계적 학교보건교육 실시에 대한 자신감과 관계요인.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 논산.
  16. 임지영(2010).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및 웹 기반 성교육 요구조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p. 63
  17. 정영희(2010). 초등학교 학생들의 보건교과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2, 대구.
  18. 조선녀(2004).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내용과 시간분석. 석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1, 광주.
  19. 조은희(2009).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구강보건지식과 행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46, 광주.
  20. 조정민(2009). 보건교과교육이 중학생의 건강지식, 태도, 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2 (2), 49-59.
  21. 차규정(2001). 정상체중과 과다체중 여고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64, 대전.
  22. 최경희(2000). 중 ․ 고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서울.
  23. Pender, N. J., & Pender, A. R. (1986). Illness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provided by nurse practitioner; Prediction potential consum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0 , 798-803.
  24. Walker, S. N., Sechrist, K. R.,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2), 7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