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n the Knowledge, Practice, Stud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by First Aid Education

응급처치교육이 초등학생의 응급처치 지식, 실천행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1.06.02
  • Accepted : 2011.06.2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Purpose: This the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first aid education on the knowledge, practice and study self-efficacy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67 elementary students, located in the adjoining region of P city. While one of the class, composed of 34 students wa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composed of 33 students, was compared as a control group. Used program in this study was first aid educ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Gyeongsangbuk-do official of education. Results: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Knowledge of first aid educ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n practice and study self-efficac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rea of study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But self-efficacy of confidence was effective. Conclusion: These findings in the study give us the necessity of first aid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It is also meaningful for this program to app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arious first aid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우(2001). 응급의료관련법령. 서울: 청구문화사. p 38.
  2. 경상북도교육청(2007). ICT 초등학교 창의적 재량활동 보건교육 건강생활 '응급처치편'.
  3. 고경숙, 김득자, 김은정, 남은주, 정혜영, 조미용(2006). 학교 안전매뉴얼. 11-12, 경북 교직원 노동조합.
  4. 구미옥, 유재순, 권인각, 김혜원, 이은옥(1994). 자기효능 이론이 적용된 건강행위 관련 연구의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4 (2), 228-302.
  5. 공배완(2007). 응급상황의 효율적 대처를 위한 민간경호경비 관련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6, 69-90.
  6. 권용선(2006).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효과 비교.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울산.
  7. 김미선(2004).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응급처치 실기교육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광주.
  8. 김아영, 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 (1), 95-123.
  9. 김신정, 이정은, 강경아, 송미경, 문선영, 장은영, 등(2009). 초등학생의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인식. 아동간호학회지, 15 (1), 97-107.
  10. 김신정, 이정은, 강경아, 김성희(2010). 초등학생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정도. 아동간호학회지, 16 (4), 268-276.
  11. 김유선(2011). 일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응급처치 교육 효과(기도폐쇄 시 응급처치 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2. 김희정, 최은숙(2007). 일부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교육의 효과.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1 (2), 51-66.
  13. 남혜경(2001). 보육시설의 영유아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진단과 프로그램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8-79, 서울.
  14. 민영순(1996). 발달심리학. 227-228, 서울: 교육출판사.
  15. 서순자(2002).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24,부산.
  16. 서순회(2006). 일부 초등학교 교사들의 응급처치에 관한 지식 및 교육요구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17. 박남수(2009). 학교기반 손상예방사업을 위한 국제안전학교모델 적용. 학교보건학회지, 22 (1),145-153.
  18. 박선미(2008). 내적동기 증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효능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1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11). 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p 339.
  20.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1998). 간호, 의료연구와 통계분석. 277-282, 652, 서울: 수문사.
  21. 정명애(2000). 학교 안전교육이 초등학생의 안전생활 실천행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2. 정명애, 이성국, 박경민(2005). 초등학생에게 적용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중재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 9 (1), 85-102.
  23. 정명애, 강대열(2006). 체험적 안전교육이 일개 도서 지역 중학생의 안전행동과 기본생활에 습관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 (2), 105-160.
  24. 통계청(2010). 2009년 사망원인 통계 연보. 통계청.
  25.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6. Chenhardy, P.,Doherty, A.,Dracup,K., Handley, A,J., et al. (2001).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acre. Ann Emerg Med, 37 (4), 49-59. https://doi.org/10.1067/mem.2001.114177
  27. Engeland, A., Roysamb, E., Smedslund, G., & Sorasard, A. J. (2002). Effects of first-aid trainning in junior high schools. Inj Control Saf Promot, 9 (2), 99-106. https://doi.org/10.1076/icsp.9.2.99.8702
  28. Eisenburger & Safer (1999) Life supporting first aid training of the public rewiew and recommendations. Resuscitation, 41 (1), 3-18. https://doi.org/10.1016/S0300-9572(99)00034-9
  29. Lewi, Fulstow, & Smith, (1997) the teachin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schools in Hampshire. Resuscitation, 35 (1), 27-31. https://doi.org/10.1016/S0300-9572(97)00027-0
  30. Schunk, D.H. (1982). Effect of effort attributional feedback on children's perceived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J Educ Psychol, 77 , 313-322.
  31. Swell, K. H., & Gaines, S. K. (1993). Development approach to childhood safety education. Pediatric Nursing, 19 (5), 464-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