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and use Survey and Monitoring Forcus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in Taejeon

도시철도 역세권의 공간이용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 Received : 2010.12.13
  • Accepted : 2011.01.1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research, which was started with a need for constant monitoring to find out urban societies and spacial effects by urban railway after the opening, was intended to empirically explore urban and social changes by the opening of Daejeon City metro line 1st which would greatly affect the spacial structure of the city. For this goal, we expected the effect of urban subway on the city with academic consideration and precedent study. Monitoring results of the subway station areas of Daejeon City metro line 1st showed the opening of urban railway had an influence on the flow of urban plan and urban space structure through population, land use, total-developing areas, and land price change. In other words, as urban railway opens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population activities centered on the subway station areas, and these movements led to the expansion of the commercial areas. Finally, they caused the average land prices to rise. Likewise, urban monitering is significantly useful comprehending the generally time-periodic changes of cities and even conceiving the present cities.

본 연구는 도시철도에 의한 도시의 사회 및 공간적 영향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라는 측면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대전시의 공간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따라 도시적 사회적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적 고찰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시철도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고, 모니터링 지표를 설정하였다. 대전광역시 도시철도 1호선 역세권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인구와 토지이용, 총 개발연면적, 지가의 변화를 통해 도시철도의 개통이 대전시의 도시계획의 흐름과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도시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도시철도 역세권 중심으로 인구 및 인구활동 등이 집중 되며, 인구 및 인구활동의 집중은 상업지역을 확대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는 평균지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도시모니터링은 도시의 전반적인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도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병호, “고속철도 개통과 대전시 공간구조 변화”, 대전발전연구원, 2008.
  2. 이주일, “서울도시모니터링 리포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3. 김흥태, “지하철 개통에 따른 역세권 정비방안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2005.
  4. 이양재, 김선웅, “서울시 성장관리 모니터링 체계구축”,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7.
  5. 박만희,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역세권의 사회적 및 물리적 변화 연구”, 박사논문, 인천대학교, 2009.
  6. 손창섭,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 변화 연구”, 석사논문, 경주대학교, 2007.
  7. 김재득, “지하철 역세권의 공간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계명대학교, 1998.
  8. 전성찬, “지하철역 주변 상업적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서울대학교, 1996.
  9. 김흥태, 김상수, 안상현, “대전광역시 도시성장 패턴과 공간구조 변화 측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7권 제3호, pp.41-48, 2009.
  10. 황의진, “교통시설 건설이 도시성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37권 제2호 pp.159-172, 2002.
  11. 조병호, 임영택, 최봉문, “도시성장관리측면에서 지하철 역세권의 압축적 도시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2008.
  12. 임윤택, 권화중, 김형진, “지하철의 개통에 따른 역세권의 지가변동요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정기학술대회, 2001.
  13. Peter Calthorpe,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3.
  14. http://www.dj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