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mong Level of Performance of Residents to Tourism, Perception of Tourism Effects, and Inte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관광산업 관련정도와 관광개발 인식수준, 관광영향 지각, 그리고, 관광정책참여도의도의 영향관계

  • Received : 2010.07.14
  • Accepted : 2011.01.1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how the local residents' involvement in a tourist industry and their perception of tourist development have an influence on tourism' and also 'how the understanding of a tourist effect has an influence on the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tention in the tourist policy'. The local residents' involvement in the tourist industry was influenced by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factors among the influencing perceptions on local festivals, but, statistically, was not influenced by an environmental factor.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t development has influenced on each local festival, and for the rate of influence, the environmental factor was the highest, and in the next order, the resi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ourist policy, the socio-cultural factor, and the economical factor followed. In the rel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t influence and their participating intention, only the factor of socio-culture had a plus(+) influence on the participating intention in the tourist polic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be different from the tourist influence of tourist development. Therefore, a study of the perception on the influence of tourist developmen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련성과 관광개발 인식이 관광영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른 관광영향 지각이 지역주민의 관광정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련정도는 지역축제 영향지각 중에서 경제적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관광개발수준에 대한 지각정도는 지역축제 영향지각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의 크기는 환경적 영향이 가장 크고, 관광정책 참여의도, 사회문화적 영향, 경제적 영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 요인과 관광정책 참여의도 간의 관계는 사회문화적 요인만이 관광정책 참여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개발의 관광영향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관광개발의 영향 지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호표, 신관광학의 이해, 서울, 학현사, 2004.
  2. P. J. Sheldon and T. Var, Resident attitude to tourism in North Wales, Tourism Management, 5, pp.40-47, 1984. https://doi.org/10.1016/0261-5177(84)90006-2
  3. 노윤구, "축제에 대한 지역사회 애착도가 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청도 소싸움 축제지역," 대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 지봉구, "지자체 공무원의 지역관광인식 수준별 관광영향지각 차이분석," 관광연구, Vol22, No.1, pp.307-324, 2007.
  5. 고동완, "인구통계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 인식의 차이," 관광학연구, Vol.25, No.3, pp.63-80, 2001.
  6. 홍수희, "정동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지각," 관광레저연구, Vol.15, No.2, pp.173-191, 2003.
  7. 오정학, 윤유식,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발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강원도지역 사례," 관광연구, Vol.24, No.5, pp.275-295, 2009.
  8. 조배행, 최영희, 김동희, "지역주민의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지각 차이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1, No.5, pp.426-439, 2005.
  9. 김의근,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중문관광단지와 성산포관광단지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Vol.7, No.1, pp.123-138, 2004.
  10. L. R. Allen, H. R. Hafer, R. Long, and R. R. Perdue, "Rural residents' attitudes toward recreation and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1 No.4 pp.27-33, 1993. https://doi.org/10.1177/004728759303100405
  11. S. V. Lanford and D. R. Howard, "Developing a tourism impact attitude scale,"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1, pp.121-139, 1994. https://doi.org/10.1016/0160-7383(94)90008-6
  12. 고동완, "지역주민의 지각된 관광영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13. 조명환, 양봉석, "문화관광지 개발에 대한 김해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 관광태도, 관광지원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Vol.16, No.2, pp.9-27, 2004.
  14. 김선희, "관광영향에 대한 주민 인지도 분석, 지리학 연구," Vol.32, No.1, pp.87-100, 1998.
  15. 용환재, "대진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20, pp.145-173, 2004.
  16. 최승묵, 김남조, "관광개발에 대한 관광담당 공무원의 태도," 관광학연구, Vol.29, No.1, pp.209-227, 2005.
  17.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