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a Producing Process of the Television Genre -over Program: Focused on the KBS 2TV <Sponge>-

텔레비전 탈장르 프로그램의 제작과정 특성 -KBS 2TV <스펀지>를 중심으로-

  • 김상근 (나사렛대학교 방송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1.01.14
  • Accepted : 2011.02.2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Nowadays, 'fusion style' television programs are increasingly found in the production of television program. Originally such a trend has been developed with a purpose of changing tedious cultural program into entertaining style. Recently, however, it has also become as an alternative style of genre which is against from lasciviousness or lewdness of entertaining program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production and theorize a producing process of the television genre-over program As a result of various aspects of research, it is found that recent producers who make genre-over program choose any kind of genre which is thought to be needed for their program, without any limitation in terms of methods or skills for specific genre. And with this change of concept for making programs, genre-over programs are newly defined as the entertaining programs, in which its entertaining function is widen and broaden, absorbing the informative function of cultural programs.

최근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 추세를 볼때 '퓨전' 스타일의 탈장르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탈장르 현상은 당초 딱딱한 교양물을 오락적으로 재미있게 풀어가자는 취지로 생기게 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존의 오락 프로그램들에 대해 선정성 저질성 시비로 끊임없이 문제가 일자 그에 대한 대응적 돌파구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과정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탈장르 프로그램 제작과정의 독자성에 대한 이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제작기법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장르를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해 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제작형태의 변화는 오락 프로그램의 재미 개념을 확대하여 교양 프로그램의 정보적 내용을 재미의 소재로 확충시키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영, ‘한국 TV예능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2002.
  2. 김상근, “탈장르 프로그램의 제작행태에 관한 연구: TV는 사랑을 싣고와 체험 삶의 현장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 김동욱,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문학/예술/문화’, 서울: 민음사, 1992.
  4. 김창남, “TV프로그램의 장르관습 변화와 오락화 경향”, 방송개발, 제2-2호, 1994.
  5. 양정혜, “뮤직비디오 제작의 관행이 텍스트 구성에 미치는 영향 : 제작진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8-2호, pp.134-168, 2004.
  6. 이오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KBS(인물현대사)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제13-2호, pp.117-156, 2005.
  7. A. A. Armer, ‘Directing Television’, CA: Wadsworth, 1986.
  8. H. Dubrow, ‘Genre’. London: Methuen, 1982.
  9. Fiske, ‘Television Cul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87.
  10. C. Marshall and G. Rossma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1999.
  11. H. Newcomb, “American television criticism, 1970-1985”, Communication. 4, pp.163-182, 1986.
  12. T. Schaz(1981), Hollywood Genres. New York: London House. 한창호.허문영 역 (1995).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서울: 한나래.
  13. R. Williams, “An interview with Raymond Williams”, In Modleski, T. (1986). Studies in Entertainment: Critical approach to mass culture.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6.
  14. ‘KBS 교양제작편람’, 1992.

Cited by

  1. Analysis of relationship marketing factors for sports centers with mixed methods research pp.1355-5855, 2017, https://doi.org/10.1108/APJML-01-2017-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