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Game Character Design Identity : Focus on Game Character Design Method through Semiotic Analysis

게임 캐릭터의 아이덴티티 개선방안 : 게임 캐릭터 제작방식의 기호학적 분석 중심으로

  • 이제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게임디자인학과) ;
  • 경병표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게임디자인학과) ;
  • 유석호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게임디자인학과) ;
  • 이완복 (국립공주대학교 대학원 게임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3.26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paper proposed an efficient game character design method through semiotic analysis of character. It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ame character of various contents characters, added the concept of "Iconic abstraction" of Scott McCloud to its characteristics, and studi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semiotics. The semiotic character from the factual character, seized the strong and weak point of each character, and divided them in the designer's character production process and gamer's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 step by step for its semiotic interpretation. As a result, two processes were reversely progressed, and the character designing process considering this gamer's semiotic recognition process is expected to be the efficient character design element that can deliver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game contents.

본 논문은 캐릭터의 기호학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게임 캐릭터 디자인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다양한 콘텐츠의 캐릭터 중 게임 캐릭터만이 가진 특징을 알아보고, 그 특징에 Scott McCloud의 "아이콘화"의 개념을 도입하여 캐릭터와 기호학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추상화된 기호적 캐릭터와 사실적 캐릭터를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과 장점, 단점을 파악하고, 디자이너의 캐릭터 제작 과정과 수용자의 캐릭터 인지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기호학적으로 해석해보았다. 그 결과 두 과정을 서로 역순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용자의 기호학 인식과정을 고려한 캐릭터 디자인 과정이 게임 콘텐츠 전반의 특징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ScottMcCloud, UNDERSTANDING COMICS, Kitchen Sink Press, 1993.
  2.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2006.
  3. 정광태, “캐릭터 디자인을 위한 감성 및 선호 분석”,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26, No.1 pp.63-69, 2007. https://doi.org/10.5143/JESK.2007.26.1.063
  4. 오현주, “게임 캐릭터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Vol.2, No.2, 2004.
  5. Marshall McLuhan, UNDERSTANDING MEDIA, Mit Press, 1994.
  6. 백승국, “소쉬르 기호학 이론과 게임 콘텐츠 연구", 한국 기호학회 제21집 pp.287-309, 2007.
  7. 최여정, “안구 운동 추적과 뇌전위 측정을 통한 기호적 만화 캐릭터와 사실적 만화 캐릭터의 시각적 주의집중 및 공감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2008.
  8.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9. 조문식, “컴퓨터 게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10. 에밀 베르나르, 세잔느의 회상, 열화당, 1995.
  11. PhilipB.Meggs, History of graphic design, JohnWiley&SonsInc,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