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홍수관련 지표 산정을 위한 표준화 및 가중치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Normalization and Weighting Method for Constructing Index about Flood

  • 백승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최시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홍승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동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투고 : 2011.06.10
  • 심사 : 2011.09.24
  • 발행 : 2011.12.31

초록

지표 및 지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그 분야를 평가할 수 있는 여러 대리변수들에 대한 표준화와 가중치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지표 산정에 있어 명료한 방법론이 부재하고,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들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의 지표산정은 다양한 표준화 및 가중치 부여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지 않고, 개발자가 선정한 방식을 통하여 지표 및 지수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수 산정과정인 표준화와 가중치 부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지수산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합리적인 방법을 도출하여 향후 타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표준화 방법으로 제시된 여러 방법들 중 5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표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가중치의 경우 4가지 산정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준화 방법의 적용 방법에 따라 산정된 지표 값이 상이하였으며, Z-스코어 방법이 자료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중치의 경우 가중치 부여 방법에 따른 지수 산정결과는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지수산정 순위결과는 크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홍수관련 지수산정 시 자료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 표준화와 가중치부여 방법 선정에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struction of composite indicators should be normalized and weighted to render them comparable and evaluable variables in the field, which undergoes absence of a distinct methodology and where the application of universally popular method is common. Constructing of indices does not compare and analyze applying various normalizing and weighting, but constructer generally use chosen method and develops indicators and indices in most research. In this study, indices are applied various normalization and weighting methods, thereby analyzing how much impact the index and identify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derive a more reasonable way to help other research in the future. 5 different methods of normalization and 4 different types of weigh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re ar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applied normalized methods and Z-score method be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weighting methods, the calculated results show little difference, but the ranking results of indic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It might be better to provide constructors with a set of normalization and weighting methods to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build flood indice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국토해양부.
  2. 국토해양부. 2008. 국가수자원관리지표. 국토해양부.
  3. 강민구, 이광만, 고익환, 정찬용. 2008. 요인분석을 이용한 수계 관리 맥락에서 유역관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통합지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1권, 제3호, pp. 277-291.
  4. 김선주, 강상진. 1999. 유달시간 산정공식의 표준화 및 민감도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 499-505.
  5. 김응석. 2008.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상수관로의 노후도 평가를 위한 항목별 가중치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8권, 제5호, pp. 15-21.
  6. 김정훈, 김영오. 2003. 홍수피해잠재능 개선방안, 2003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373-2378.
  7. 김호석, 송영일, 김이진, 임영신. 2007.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KEI-2007-RE-08 연구보고서.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8. 박성우. 1984. 응용수문학, 향문사.
  9. 박태선, 김광묵, 윤양수, 이승복. 2005. 홍수피해 특성 분석 및 홍수피해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 2005-6. 국토연구원.
  10. 안재현, 강두선, 윤용남. 2007. 치수단위구역 설정 및 홍수피해잠재능 산정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수자원학회지 40(11) : 42-49.
  11. 유가영, 김인애. 2008.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KEI-2008-RE-05 연구보고서.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12. 윤하연. 1999. 인천광역시 환경지표의 개발과 적용. 인천발전연구원, pp.1-51.
  13. 이창희 이석민, 여창건. 2006.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시정연 2006-R-37.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임광섭, 이동률, 최시중. 2008. 수자원정책지원을 위한 지수개발 - 치수특성지수 중심으로.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53-60.
  15. 임광섭, 최시중, 이동률, 문장원. 2010.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1B호, pp. 61-70.
  16. 장대원. 2010. 홍수방어대안 선정을 위한 위험관리지수의 개발 및 적용. 공학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7. 정순석. 2004. 엔트로피 방법에 의한 다 요소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안전경영과학지. 제6권, 제2호, pp. 177-186.
  18. 최시중, 이동률. 2005. 지속가능한 수자원 개발과 관리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9호, pp. 779-790.
  19. Aall C. 2005. The Concept of Indicators Paper presented at a seminar within the EUproject Capacity building to enable the incorporation of urban sustainability parameters in spatial urban development and planning policy practices through the use of indicators (URBANGUARD). Nicosia. Cyprus. 8-9 August 2005.
  20. Bollin C, Hidajat R. 2006.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index: pilot implementation in Indonesia. In: J. Birkmann, Editor. Measuring Vulnerability to Natural Hazards-Towards Disaster Resilient Societies, UNU-Press, Tokyo, New York, Paris.
  21. Connor RF, Hiroki K. 2005.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 51, no.5, pp. 61-67.
  22. Dilley M, Chen RS, Deichmann U, Lerner-Lam A, Arnold M. 2005. Natural disaster hotspots. A global risk analysis. The World Bank, Hazard Management Unit, Washington, DC.
  23. Kang MG, Lee GM, Ko IH. 2010. Evaluating Watershed Management within a River Basin Context Using an Integrated Indicator System.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6, No. 2, March/April 2010. pp. 258-267.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10)136:2(258)
  24.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Tarantila S, Hoffman A, Giovannini E. 2005. Handbook on Constructing Composite Indicators: Methodology and User Guide. OECD Statistics Working Papers. 2005/3, OECD Publishing.
  25. OECD. 1998.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OECD Expert Workshop.
  26. OECD. 2001. OECD environmental indicators 2001-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27. TRIAMS. 2006. TRIAMS working paper : Risk Reduction Indicators.
  28. UNEP. 2000. Insight on common/key indicators for global vulnerability mapping.
  29. UNDP. 2004. Reducing disaster risk: a challenge for development. New York, NY: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30. UNDP. 2007 Fighting climate change: Human solidarity in a divided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