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Virtuality and Subjectivity of Augmented Reality in Media Remediation

미디어 재매개적 관점에 의한 증강현실 가상성과 주체성에 대한 연구

  • 김진곤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9.02
  • Accepted : 2011.12.1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interpret subjectivity, which centers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embedded in the process of virtualizing contextual awareness and mix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ies and virtual realities for renewing the feeling of time and space represented by augmented realities in daily spaces,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media. By explaining how the reflection of reality is exposed focusing on immediacy and hypermediacy from the viewpoint of media remediation, we found that, different from conventional media, augmented reality enables the screen to function as a part of subject and play a role and, by doing so, converts it to the complete subject of digital media comprehending observers and operators.

본 논문은 증강현실이 일상적 공간위에 표상된 시공간을 새롭게 느낄 수 있도록 맥락적 인식을 가상화시키고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혼합하는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가상성 개념을 중심으로 주체성을 전통적 미디어 관점에서 해석해내고자 한다. 미디어 재매개 관점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를 중심으로 현실 반영성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밝힘을 통해, 증강현실은 기존 미디어와는 달리 스크린을 주체 일부로 기능하게 하고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관찰자, 조작자를 포괄하는 완벽한 디지털미디어의 주체로 전환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andall Packer, "Multimedia: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W. W. Norton & Company, 2001. p406
  2.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p21
  3. 이광석, "현실공간에서 가상공간으로", 한국사회와 언론, 한국사회언론연구회편, 1997, 제8호, p74
  4. Marita Struken and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129
  5. 데이비드 웨버먼,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한문화멀티미디어, 2003. p278
  6. 데이비드 웨버먼,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한문화멀티미디어, 2003, p272
  7. Marita Struken and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133p
  8. Maturana & Varela, "Autopoiesis and Cognition: The Realization of the Living, Kluwer, 1980
  9.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p152
  10. Marita Struken and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101
  11. 최미숙,"자크 라깡의 거울단계와 가상현실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시각디자인학회, 2002, 제9호, p22
  12. 사라 워드, "매트릭스로 철학하기", 한문화멀티미디어, 2003. p121
  13. Marita Struken and Lisa Cartwright,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p134
  14.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p33
  15.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p32
  16.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pp38-39
  17. 구본영, "출판매체 속 표상에 나타나는 재매개의 이중논리 연구",디지털디자인학연구, 디지털디자인학회, Vol.9, No.1, p261
  18.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he MIT Press, 2000. p74
  19. 디터 메르쉬, "매체이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p75
  20. 조윤경,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인문과학원, 2010. p25
  21. 기 본지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시공사, 2003. pp93-94
  22. 장문정, "메를로 퐁띠의 살의 기호학", 한국학술정보, 2005, p369
  23. 조윤경,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인문과학원, 2010. pp26-27
  24. 조윤경,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인문과학원, 2010. p28
  25. 전혜숙,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인문과학원, 2010. p73
  26. Randall Packer, "Multimedia: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W. W. Norton & Company, 2001. p47
  27. Randall Packer, "Multimedia: From Wagner to Virtual Reality", W. W. Norton & Company, 2001. p380

Cited by

  1. Virtuality in Digital Fashion Images vol.39, pp.2,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2.233
  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permediacy Revealed in Installation Space vol.23, pp.5, 2014, https://doi.org/10.14774/JKIID.2014.23.5.041
  3. Fashion Illustration using the Digital Frame of Augmented Reality vol.68, pp.3,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3.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