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from 21 Lakes in the Yeungnam Area including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Korea

영남지역 21개 호소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 Kim, Sang-Ki (Institute for Phylogenomics and Evolu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Yeong-Hoon (School of Lif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ong, Gi-Bung (Institute for Phylogenomics and Evolu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oo, Dong-Uk (Institute for Phylogenomics and Evolu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uk, Ho-Yeong (Department of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tiy) ;
  • Chae, Byung-Soo (Oil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
  • Kim, Han-Sun (School of Lif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Ui-Wook (Institute for Phylogenomics and Evolu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상기 (경북대학교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
  • 강영훈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 홍기붕 (경북대학교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
  • 유동욱 (경북대학교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
  • 석호영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
  • 채병수 (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
  • 김한순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 황의욱 (경북대학교 계통진화유전체학연구소)
  • Received : 2011.11.19
  • Accepted : 2011.12.27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urveyed through 21 lakes in the Yeungnam area including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Korean Peninsula from April 2008 to October 2009. Among 21 lakes, 16 lakes belong to the Nakdong River and 5 are independent drainages. From the present study, 61 species (44 genera, 15 families) were collected including 32 cyprinid species (52.5%), 6 cobitid species (9.8%) and so on.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in aspect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Hypomesus nipponensis (26.6%)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14.8%),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aspect of in biomass,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Lepomis macrochirus (19.8%) and Cyprinus carpio (14.7%), respectively. Among 61 examined species, there were found 20 Korean endemic species and 2 Korean endangered species (Pseudobagrus brevicorpus and Pungitius kaibarae). P. brevicorpus was found in Yongyeonji and Yeongcheonho, and P. kaibarae in Yongyeonji. In addition, 5 exotic species were identified such as Cyprinus carpio nudus (leather carp), Carassius cuvieri, Hypophthalmichthys molitrix,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Interestingly, a bluegill L. machrochirus appeared dominant or subdominant species in 5 of 21 examined lakes. Five species introduced from the other rivers in Korean Peninsula were additionally described. In the present study, it was first reported that Micropercops swinhonis inhabits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 fish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t indices were examined, and a dendrogram based on similarity indices of inhabiting species among the 21 examined lakes was constructed and discussed.

2008년 4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영남지역 21개 호소를 중심으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15과 44속 61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잉어과가 32종 (52.5%)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 어류가 6종 (9.8%)이었다. 호소별 출현종수는 진양호에서 3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다. 전체 호소에서 확인된 61종의 어종 중 개체수에 근거할 때, 우점종은 빙어 (26.6%), 아우점종은 긴몰개(14.8%)로 나타났으며, 생체량에 근거할 때, 우점종은 블루길 (19.8%), 아우점종은 잉어 (14.8%)로 나타났다. 확인된 61종 중 한국 고유종은 6과 20종으로 나타났으며, 긴몰개가 전체 개체수의 14.8%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인 꼬치동자개는 용연지와 영천호, 잔가시고기는 용연지에서 각각 확인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용연지의 꼬치동자개는 낙동강수계에서 최근 이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래도입종으로는 배스, 블루길,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백련어로 총 5종이 확인되었다. 블루길은 풍락지, 합천호, 번개늪, 장척호, 주남저수지와 같은 5개 호소에서 우점종 또는 아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타 수계로부터 낙동강으로 이입된 종으로 끄리, 강준치, 치리, 살치, 동자개, 빙어, 얼록동사리의 7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끄리는 임하호와 영천호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어목 동사리과에 속하는 좀구굴치가 낙동강 유역의 질날벌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21개 호소의 어류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호소의 종다양도, 균등도, 우점도 지수는 각각 1.079, 0.604, 0.134로 나타났으며, 호소별 어류상의 유사도는 저수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일시기에 영남 지역에 위치하는 21개의 호소를 대상으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이후 관련 연구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서준원.금지돈.양홍준. 2004. 낙동강 중류 (구미 지역) 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7: 227-235.
  2. 강영훈.채병수.남명모.김한순. 2005. 비슬산 계류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8: 289-296.
  3. 김도한.황수옥.양홍준.전상린.최신석.김익수.최충길.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264pp.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629pp.
  5. 김익수.김병직. 1996. 좀구굴치(Micropercops swinhonis)의 산란습성 및 초기 난발생. 한국생태학회지, 19: 477-486.
  6. 김익수.김병직. 1997. 전북 부안의 좀구굴치 (Miropercops swinhonis) 개체군 생태. 한국육수학회지, 30: 47-54.
  7. 김익수.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65pp.
  8.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9. 김치홍.이완옥.이종관.홍관의. 2005. 청평호의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7: 123-130.
  10. 남명모.강영훈.채병수.양홍준. 2002. 동해로 유입되는 가곡천과 마읍천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 한국어류학회지, 14: 269-277.
  11. 노세윤. 2009. 민물고기 쉽게 찾기. 진선출판사, 396pp.
  12. 대구지방환경청. 2004. 호소생물상조사 보고서(가창댐, 보문호, 풍락지, 영천댐). 대구지방환경청, 179pp.
  13. 변화근.이완옥.김동섭. 2004. 영천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6: 234-240.
  14. 양홍준. 1973. 낙동강산 어류의 조사. 한국육수학회지, 6: 19-36.
  15. 양홍준∙채병수∙황수옥. 1997. 임하댐 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 145-154.
  16. 유동재.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이진희.강경완. 2008. 경상북도 포항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한국수산학회지, 41: 363-370.
  17. 유동재.한경호.임후순.서원일.이성훈. 2009. 경상북도 경주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21: 38-46.
  18. 이완옥.강충배.박현우.한명철.변화근.명정구.노충환.홍경효.송호복.채병수.한경호.고정락.홍영표. 2002. 국내에 도입된 외래어 현황과 효과적 관리. 한국어류학회 추계발표, 서울, 2002, 155pp.
  19. 이완옥.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432pp.
  20. 이충렬. 2005.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7: 131-141.
  21. 이충렬.김용호. 2002.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4: 173-182.
  22. 장민호∙윤주덕∙채병수∙주기재. 2006. 동해 유입천에 서식하는 잔가시고기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39: 265-270.
  23. 장민호.조가익.주기재. 2001.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34: 223-238.
  24.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1pp.
  25. 전상린. 1995. 한국산담수어생물지리논문집. 상명여자대학교 생물학과, 414pp.
  2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727pp.
  27. 채병수. 1988. 韓國産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의 形質分析에 의한 分類.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2pp.
  28. 채병수.윤희남. 2005. 여수∙순천, 영취산 일대의 담수어류.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29.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1989. 한국산담수어분포도. 제9판, 한국담수생물연구소, pp. 1-38.
  30.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77pp.
  31. 한승철.이학영.서을원.심재헌.이종은. 2007. 임하호의 탁수가 어류상 및 어류생장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Life Science, 17: 1104-1110. https://doi.org/10.5352/JLS.2007.17.8.1104
  32. Akihito, A. Iwata, T. Kobayashi, K. Ikeo, T. Imanishi, H. Ono, Y. Umehara, C. Hamamatsu, K. Sugiyama, Y. Ikeda, K. Sakamoto, A. Fumihito, S. Ohno and T. Gojobori. 2000. Evolutionary aspects of gobioid fishes upon a phylogenetic analysi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s. Gene, 259: 5-15. https://doi.org/10.1016/S0378-1119(00)00488-1
  33. Astroga, M. and R. Galleguillos. 1998 Genetic divergence of jack mackerel of genus Trachurus from northwestern and southern Pacific. Rev. Biol. Mar. Oceanogr., 33: 155-161.
  34. Barbier, E.B. 1994. Valuing environmental functions: Tropical wetlands. Land Economics, 70: 155-173. https://doi.org/10.2307/3146319
  35. Barraclough, T.G. and S. Nee. 2001. Phylogenetics and speciation. Trends Ecol. Evol., 16: 391-399. https://doi.org/10.1016/S0169-5347(01)02161-9
  36. Dugan, P. 1993. Wetlands in Danger. A world conservation atlas. Oxford University Press, 187pp.
  37. Finlayson, C.M. and M. Moser. 1992. Wetlands. Facts on File. Oxford, 224pp.
  38.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95/98/NT. Nucl. Acids Symp. Ser., 41: 95-98.
  39. Horn, H.S. 1966. Measurement of "overlap" in comparative ecological studies. Amer. Natur., 100: 419-424. https://doi.org/10.1086/282436
  40. Hwang, U.W. and W. Kim. 1999. Gener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utilities of nuclear ribosomal DNA and mitochondrial DNA. Korean J. Parasitol., 37: 215-228. https://doi.org/10.3347/kjp.1999.37.4.215
  41. Jang, K.H. and U.W. Hwang. 2009.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Bugula neritina (Bryozoa, Gymnolaemata, Cheilostomata): phylogenetic position of Bryozoa and phylogeny of lophophorates within the Lophotrochozoa. BMC Genomics, 21: 167-285.
  42. Kim, S.K., E.H. Choi, K.B. Hong, K.H. Jang, S.H Ryu and U.W. Hwang. 2011.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Korean stumpy bullhead Pseudobagrus brevicorpus (Siluriformes, Bagridae). Mitochondrial DNA, 22: 44-46. https://doi.org/10.3109/19401736.2011.597388
  43. Large, A.R.G. and G.E Petts. 1992. Rehabilitation of river margins. In: Calow, P. and Petts, G.E. (eds.), The Rivers Handbook: Hydrological and Ecological Principles, Volume 2, Blackwell Scientific, Oxford, pp. 401-418.
  44.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ley & Sons, 601pp.
  45.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46. Rahel, F.J. 2000. Homogenization of fish faunas across the United States. Science, 288: 854-856. https://doi.org/10.1126/science.288.5467.854
  47.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48.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49. Uchida, K. 1939. The fishes of Tyseon. Part 1. Nematognathi, Eventhognathi, Bull. Fish. Exp. Sat. Gov. Gener. Tyosen. 6, 458pp.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