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널자료를 이용한 교통안전투자 종류별 사고감소 효과

Analysis of the Effect of Traffic Safety Investment on Traffic Accident Reduction Using Panel Data

  • 강수철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정책실) ;
  • 배형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 투고 : 2011.01.17
  • 심사 : 2011.07.12
  • 발행 : 2011.10.31

초록

도로교통 안전분야에 투자되는 예산분야는 일반적으로 교통안전시설분야(Engineering), 교통단속분야(Enforcement), 교통안전교육 및 홍보분야(Education)의 3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것을 3E 정책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목별 투자가 도로교통사고 감소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패널분석을 통해 추정하고자 하였다. 종속변수는 교통사고 건수, 사망자, 부상자수로 구분하였고, 설명변수로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이용되었던 인구, 자동차등록대수, 도로연장거리에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교통안전시설투자예산, 교통안전교육 및 홍보예산, 단속건수를 15개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자료와 1992년부터 2007년까지의 연도별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교통사고를 종속변수로 한 분석결과 동일한 투자액에 대비하여 교통안전교육 및 홍보투자가 시설투자에 비해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6가지 세부교통사고로 분리한 분석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 현재 교통 안전시설투자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통안전예산을 교통안전교육 및 홍보에도 분배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re are many investment budget drafts in the filed of a road traffic safety. The traffic safety budget is spitted into following three major areas: 1) traffic safety facility (Engineering), 2) traffic enforcement (Enforcement), and 3) traffic safety education & public relation (Education). The three area are known as so-called 3E polic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investment in the 3E policy on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analyzing the data annually collected from the 15 local governments during 1992 to 2007. The analysis employing the traffic accidents as the dependent variable reveals that the effect of the investment is higher if same amount of investment is made on areas of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than the area of facility improvement. The similar conclusions are resulted from the separate investigation of traffic accidents data by 6 different types. All the results consistently indicate that the current traffic safety investment being primarily made on traffic safety facility needs to shift to the area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budget.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98-2003), '교통안전세부시행계획'.
  2. 건설교통부(2002-2007), '교통안전시행계획'.
  3. 경찰청(1982-2008), '각 연도별 교통사고통계'.
  4. 김홍상(1987), '교통사고의 기술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5. 박경환 등(1993),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 특징분석과 예측모델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6. 신용균․류쥰범(2009),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도로교통공단, 교통안전연구논집 제28권, pp25-36.
  7. 이환승․안병준(2006), '교통안전진단 결과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요인분석', 한국안전학회지, 제21권 제2호, 한국안전학회, pp128-137.
  8. 임헌연(1993), 한국의 사회․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한 교통사고예측모형의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전승훈․강정호․임병인(2004), '선형패널자료 분석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통계청, 통계연구, 제9권 제2호, pp.1-24.
  10. 齊藤和夫(1979), 'わか國にわけるマクロ分析硏究', 交通工學, Vol 15, No2, pp.5-11.
  11. Firas(1989),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Accident rates in Developing contries-IRAQ AS.A case-study', 11th IRF Meetings Proceedings, Vol.5, p.19.
  12. Smeed(1949), 'Some Statistical Aspects of Road Safety Research',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Part 1.Vol.23, No.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