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ategics of Tourism Revitalization based on Motive of Tourist to Seaside Villages in Jeju Island

제주도 어촌관광 동기분석에 따른 관광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in-Hee (Dept. of Tourism Development,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7.25
  • Accepted : 2011.09.0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oday, seaside village has been met with much difficulty from aggravation of fishing conditions including decrease of fishery resources, marine products market opening, reduction of coastal fishing ground. Thus, seaside village tourism can become an useful alternative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deals with on the tourism activities based on motive of tourist to Seaside Villages in Jeju Island. And it will be find out though the cross analysis of tourism motivation factors and tourism activities factors. With 298 effective responses gathered from an on-site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canonical analysis. The tourism motivation and activities were conformed by Chi-Square Analysis and ANOVA analysis. For the growth of seaside village, many tourist must visit four seasons and tourism facilities and programs will be develop as seaside village experience activities, marine leisure activities, and circumference inquiry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미희, 김남조, 최승담, 2003, 대중관광객과 비교를 통한 생태관광객의 차별적 특성규명: 여행동기 및 태도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17(2), 157-175.
  2. 고종화, 2002, 농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기영, 전명식, 1991, SAS인자분석, 자유아카데미, 31-39.
  4. 김남조, 2004, 농촌어메니티 개념과 농촌현상 구성요소를 이용한 농촌관광정책의 방향, 관광학연구, 28(1), 263-281.
  5. 김선영, 장병주, 이준, 2007, 생태관광동기, 여가만족, 삶의 질의 영향관계연구, 관광연구, 22(2), 59-76.
  6. 김성귀, 2001, 어촌관광의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7. 김성귀, 홍장원, 박상우, 2001, 어촌관광유형별 개발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4-20.
  8. 김영석, 2010, 축제동기의 추구요인과 유인요인의 차이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6(1), 23-44.
  9. 김은정, 2009, 어촌관광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충련, 1997, SAS라는 통계상자, 서울 : 테이타플러스, 479-485.
  11. 박광범, 2005, 어촌관광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수산경제정책연구원, 7.
  12. 박구원, 이수옥, 2002, 해안어촌관광의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6(3), 167-190.
  13. 송경언, 2002, 제주도 어촌의 관광지화와 공간이용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14. 신동주, 손재영, 2008, 어촌관광 방문동기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2(3), 255-273.
  15. 여운승, 2006, 다변량행동조사, 민영사.
  16. 오민재, 이소연, 2008, 여행목적과 관광객 만족에 의한 생태관광객 동기 세분화, 관광연구저널, 22(1), 277-290.
  17. 윤유식.오홍철, 2008, 농촌관광마을 방문만족도 세분시장별 농촌관광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져연구, 20(3), 109-124.
  18. 윤정민, 2011, 어촌관광동기와 선호유형이 시설 이용도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경희, 2004, 농촌관광에 대한 선행연구고찰, 문화관광연구, 6(1), 333-343.
  20. 이승래, 조재환, 백진이, 2005, 어촌관광에 대한 도시민의 선호분석, 수산경영론집, 36(3), 25-35.
  21. 이장주, 2003, 지역축제 참여동기 모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진희, 2005, 관광산업과 연계한 남제주군 어촌의 발전방향, 경제개발연구, 7(1), 제주경제개발연구소.
  23. 이진희, 2008, 제주도의 명품.명소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산경논집, 23, 171-210.
  24. 이진희, 홍원식, 2010, 표선 어촌마을 관광활성화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 36, 389-432.
  25. 이재천, 1994, 관광어촌, 서울:백산출판사.
  26. 이충기, 이태희, 2000, 98경주세계문화엑스포에 대한 축제참가동기 분석, 관광학연구, 23(2), 81-97.
  27. 임영규, 이수범, 이승곤, 2004, 국내 어촌관광 실태에 따른 개발방향의 탐색적 연구, 관광연구저널, 18(2), 309-322.
  28. 장양례, 윤유식, 구본기, 2011, 어촌관광객의 선호속성, 어촌체험관광 만족도 및 체험관광 상품개발 지지도, 추천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연구, 25(6), 341-363.
  29. 전재균, 2007,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팜스테이 체험프로그램 개발, 관광.레져연구, 19(3), 323-341.
  30. 차석빈, 김홍범, 김우곤, 윤지환, 오흥철, 2001, 다변량분석의 이론과 실체-관광학사례를 중심으로, 학현사.
  31. 차오린, 2011, 방문동기가 어촌관광지 이미지와 만족도 및 행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병길, 박성수, 2007, 어촌체험관광마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정보연구, 25(3), 27-52.
  3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6, 어촌지역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34. 한상복, 1991, 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5.
  35. 홍원식, 2010, 제주지역 어촌방문객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활동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Baloglu, S., & Uysal, M., 1996, Market segment of push and pull motivation : A canonical correlation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Hospitality Management, 8(3), 32-38. https://doi.org/10.1108/09596119610115989
  37. Iso-Ahola, S. E., 1982,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 A Rejoinder, Annals of Tourism Research, 9(2), 256-262. https://doi.org/10.1016/0160-7383(82)90049-4
  38. Josiam, B. M., Mattson, M., & Sullivan, P., 2004, The Historaunt: Heritage tourism at Mickey's Dining Car, Tourism Management, 25, 453-461.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126-2
  39. Kerstetter, D., Hou, J. S., & Lin, C. H., 2004, Profiling Taiwanese ecotourists using a behavioral approach, Tourism Management, 25, 491-498.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119-5
  40. Krippendorf, J., 1987, The Holiday Markets : Understanding the Impact of Leisure and Travel, Heinsmann Professional Publishing, Redwood Burn Ltd. Towerbridge, Wildshire, England.
  41. Lee, C. K., Lee, Y. K., & Wicks, B., 2004, Segmentation of festival motivation by nationality and satisfaction, Tourism Management, 25(1), 61-70.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060-8
  42. Mcintosh, A., 2002, Tourist Appreciation of Maori culture in New Zealand, Tourism Management, 25(1), 1-15.
  43. Moreno , A., & Becken, S., 2009,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astal tourism,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17(4), 473-488. https://doi.org/10.1080/09669580802651681
  44. Oh H. C., Uysal, M., & Weaver, P. A., 1995, Product bundles and market segments based on travel motivations : A canonical correlation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Hospitality Management, 14(2), 123-137. https://doi.org/10.1016/0278-4319(95)00010-A
  45. Scott, D., 1996, A comparison of visitor' motivation to attend three urban festivals,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3(3), 121-128.
  46. Smith, V. L., 1989, Hosts and Guests : The Anthropology of Tourism, 2d ed, Philadelphia :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7. Uysal, M., Gahan, L., & Martin, B., 1993, An examination of event motivations: A case study,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1(1), 5-10.
  48. Uysal M., & Jurowski, C., 1994 Testing the push and pull factor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1(4), 844-846. https://doi.org/10.1016/0160-7383(94)90091-4

Cited by

  1. 스토리텔링의 어촌관광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vol.29, pp.1, 2011, https://doi.org/10.35372/kmiopr.2014.29.1.002
  2. 중국인관광객의 제주해양관광 활동유형, 만족도, 재방문의사에 관한 연구 vol.48, pp.3, 2011, https://doi.org/10.12939/fba.2017.48.3.075
  3. 지속가능한 어촌마을 개발을 위한 중요 요소 분석 vol.26, pp.1, 2011, https://doi.org/10.7851/ksrp.2020.26.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