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Booth Recommendation System on Exhibition Visitors Unplanned Visit Behavior

전시장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방문행동에 있어서 부스추천시스템의 영향에 대한 연구

  • Chung, Nam-Ho (College of Hotel and Tourism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Kim, Jae-Kyung (School of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11.11.16
  • Accepted : 2011.12.1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With the MICE(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 industry coming into the spotlight,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Accordingly, in Korea, various studies of the industry are being conducted to enhance exhibition performance as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Some studies are focusing particularly on analyzing visiting patterns of exhibition visitors us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tions in effects of watching exhibitions according to the exhibitory environment or technique, thereby understanding visitors and, furthermore, draw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xhibiting businesses and improving exhibition performance. Howeve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booth recommendation systems only discussed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in the aspect of a system rather than determining changes in visitors' behavior or perception by recommendation. A booth recommendation system enables visitors to visit unplanned exhibition booths by recommending visitors suitable ones based on information about visitors' visits. Meanwhile, some visitors may be satisfied with their unplanned visits, while others may consider the recommending process to be cumbersome or obstructive to their free observation. In the latter case, the exhibition is likely to produce worse results compared to when visitors are allowed to freely observe the exhibition. Thus, in order to apply a booth recommendation system to exhibition halls,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should be generally examined, and the effects of the system on visitors' unplanned visiting behavior should be carefully studied. As such,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a booth recommendation system by reviewing theories and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visitors'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system on their satisfaction of unplanned behavior and intention to reuse the system. Toward this end, the unplanned behavior theory was adopt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Unplanned behavior can be defined as "behavior that is done by consumers without any prearranged plan". Thus far, consumers' unplanned behavior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The field of marketing, in particular, has focused on unplanned purchasing among various types of unplanned behavior, which has been often confused with impulsive purchasing. Nevertheless,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impulsive purchasing means strong, continuous urges to purchase things, unplanned purchasing is behavior with purchasing decisions that are made inside a store, not before going into one. In other words, all impulsive purchases are unplanned, but not all unplanned purchases are impulsive. Then why do consumers engage in unplanned behavior? Regarding this question, many scholars have made many suggestions, but there has been a consensus that it is because consumers have enough flexibility to change their plans in the middle instead of developing plans thoroughly. In other words, if unplanned behavior costs much, it will be difficult for consumers to change their prearranged plans. In the case of the exhibition hall examined in this study, visitors learn the programs of the hall and plan which booth to visit in advance. This is becaus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visitors to visit all of the various booths that an exhibition operates due to their limited time. Therefore, if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recommends visitors booths that they may like, they can change their plans and visit the recommended booths. Such visiting behavior can be regarded similarly to consumers' visit to a store or tourists' unplanned behavior in a tourist spot and can be understand in the same context as the recent increase in tourism consumers' unplanned behavior influenced by information devices. Thus, the following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is research model uses visitors' perceived performance of a booth recommendation system as the paramete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include trust in the system, exhibition visitors' knowledge levels, expected personalization of the system, and the system's threat to freedom. In additi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visitors' satisfaction of their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system and unplanned behavior and their intention to reuse the system was determined. While doing so, trust in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consisted of 2nd order factors such as competence, benevolence, and integrity, while the other factors consisted of 1st order factors. In order to verify this model, a booth recommend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be tested in 2011 DMC Culture Open, and 101 visitors were empirically studi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sitors' trus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and the visitors who used the system perceived its performance as a success based on their trust. Second, visitors' knowledge levels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hich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of a recommendation system requires an advance understanding. In other words, visitors with higher levels of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 hall learned better the usefulness of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Third, expected personaliz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which is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results.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used in this study did not provide enough personalized services. Fourth,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was not considered to threaten or restrict one's freedom, which means it is valuable in terms of usefulness. Lastly, high performance of the booth recommendation system led to visitors' high satisfaction levels of unplanned behavior and intention to reuse the system. To sum up,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a booth recommendation system on visitors' unplanned visits to a booth, empirical data were examined based on the unplanned behavior theory and, accordingly, useful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sign of future booth recommendation systems were made. In the future, further examin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elaborate survey questions and survey objects.

국가신성장동력으로MICE(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 산업이각광받으면서국내전시산업에 대한 관심이 드높아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전시산업(domestic exhibition industry)도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전시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전시환경이나 전시기법 등에 따라 관람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지능형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전시장에 방문한 참관객의 참관패턴을 분석하여 참관객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참여업체 간의 연관관계 도출 및 전시회의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부스추천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추천의 정확성만을 논하고 있을 뿐 추천을 통한 참관객의 행동이나 인식의 변화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고 있지 못하다. 부스추천시스템(Booth Recommendation System)은 참관객의 부스방문 정보를 바탕으로 참관객에게 적절한 부스를 추천하기 때문에 참관객은 사전에 계획하지 않은 전시장을 방문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참관객은 계획하지 않은 방문행동을 통해서 만족할 수도 있지만 추천과 정이 번거롭다거나 자유롭게 참관을 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참관객의 자유로운 관람보다 오히려 더 좋지 않은 성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부스 추천시스템을 전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부스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론과 기존문헌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참관객의 지각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가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만족도와 부스추천시스템의 재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로 본 연구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이론(Unplanned Behavior Theory)을 도입하였다. 계획되지 않은 행동(unplanned behavior)이란 "소비자들이 사전에 계획하지 되지 않은 채 실행된 어떤 행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비자들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은 그 동안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마케팅에서는 계획되지 않은 행동 중 계획되지 않은 구매(unplanned purchasing)에 많은 관심을 두어 왔는데 이 개념은 종종 충동적 구매(impulsive purchasing)와 혼동되어 사용되곤 하였다. 그런데, 충동적 구매가 갑자기 무엇인가 구매를 해야하는 강하고 지속적인 충동(urge)이라고 본다면 계획되지 않은 구매는 구매의사결정의 시점이 상점에 들어가기 전이 아닌 상점 내에서 수행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모든 충동적 구매는 비계획적이나, 모든 계획되지 않은 구매가 충동적인 구매는 아니다. 그런데, 왜 소비자들은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가? 이에 대해서는 학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 의견이 있으나 소비자가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따라서 중간에 계획을 변화시킬만한 유연성(flexibility)이 있기 때문이라는 점에 일관된 의견을 보인다. 즉,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면 소비자들은 사전에 수립한 계획을 변경하기 어렵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전시장 역시 참관객들은 방문하기 전에 전시장이 어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어떤 부스를 방문할지를 사전에 계획하게 된다. 그 이유는 참관객들이 전시장 방문에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되어 있는 반면에 전시회는 대규모의 다양한 부스로 운영되기 때문에 참관객들이 모든 부스를 참관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부스추천시스템이 참관객이 선호할 만한 부스를 추천하게 되면 참관객은 자신의 계획을 변화시켜서 부스추천시스템이 추천한 부스를 방문하게 된다. 이러한 방문행동은 소비자가 상점을 방문하거나, 관광객이 관광지에서 계획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과 유사한 측면에서 이해가 가능하며 특히 최근 여행소비자들이 정보기기의 영향으로 계획되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경우가 부쩍 증가한 추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모형은 참관객이 지각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performance)를 매개변수로 하고 있는데 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스추천시스템에 대한 신뢰(trust), 전시장 참관객의 지식수준 (knowledge level), 부스 추천시스템의 기대된 개인화 (expected personalization) 그리고 부스추천시스템의 자유위협(threat to freedom)을 영향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지각된 부스추천시스템 성과와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참관객의 만족도와 향후 부스추천시스템의 재사용의도간의 인과관계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때 부스추천시스템에대한신뢰는권한(competence), 자선(benevolence), 그리고진실(integrity)의2차요인(2nd order factor)으로구성하고, 나머지 요인들은 1차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1 DMC Culture Open 행사에서 부스추천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개발하고, 101명의 참관객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스추천시스템에 있어서 참관객의 신뢰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실제 해당 부스추천시스템을 이용한 참관객들은 신뢰를 통해 부스추천시스템이 성과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참관객의 지식수준 역시 부스추천시스템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추천의 성과가 전시장에 대한 사전적 이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즉, 전시장에 대한 이해가 높은 참관객이 부스추천시스템의 유용성을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된 개인화 수준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 사용된 부스추천시스템이 충분히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넷째, 부스추천시스템의 추천정보는 개인의 자유를 위협하거나 제한한다고 느끼지 않음으로 충분히 유용한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부스정보시스템의 높은 성과는 참관객들의 계획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향후에도 부스추천시스템을 재사용할 의도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부스추천시스템이 야기하는 참관객의 계획되지 않은 부스방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계획되지 않은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부스추천시스템의 구축 및 설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보다 정교한 설문구성과 측정대상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현실, 정민규, 김재경, 김혜경, "순차연관규칙을 이용한 개인화된 전시 부스추천방법", 지능정보연구, 16권 4호(2010), 196-211.
  2. 박영아,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관광객들의 충동적 방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3권 6호 (2010), 3195-3211.
  3. 정민규, 김혜경, 최일영, 이경전, 김재경, "유아교육박람회에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전시 관람행동 패턴분석", 지능정보연구, 17 권 2호(2011), 77-96.
  4. Chin,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 G.A. Marcoulides(Ed.),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m, Mahway, NJ, 1988.
  5. Cobb, C. J. and W. D. Hoyer, "Planned versus Impulsive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Vol.62, No.4(1986), 384-409.
  6. Gefen, D., E. Karahanna, and D. W. Straub,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Vol.27, No.1(2003), 51-90. https://doi.org/10.2307/30036519
  7. Hotler, R. E., V. Y. Yoon, Z. Guo, T. Guimaraes, and G. Forgionnes, "Assessing the Impact of Recommender Agents on On-Line Consumer Unplanned Purchase Behavior", Information and Management, doi : 10.1016/j.im. 2011.08.002.
  8. Hwang, Y. H. and D. R. Fesenmaier, "Unplanned Tourist Attraction Visits by Travellers", Tourism Geographies, Vol.13, No.3(2011), 398-416. https://doi.org/10.1080/14616688.2011.570777
  9. Hwang, Y. H., "A Theory of Unplanned Travel Decisions: Implications for modeling on the go Travelers",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urism, Vol.12(2011), 283-296.
  10. Johnson, E. and J. E. Russco, "Product Famili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1(1984), 54 2-550. https://doi.org/10.1086/208990
  11. Kwon, S. J. and N. Chu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Product Involvement on Online Shopping Recommendation Mechanisms based on a Causal Map",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9, No.6(2010), 522- 536. https://doi.org/10.1016/j.elerap.2010.04.004
  12. Lee, G. and W. J. Lee, "Psychological Reactance to Online Recommendation Services",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46(2009), 448 -452. https://doi.org/10.1016/j.im.2009.07.005
  13. Lee, K. C. and N. Chung,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 Reaction to the Virtual Reality Shopping Mall",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4, No.1(2008), 88-104. https://doi.org/10.1016/j.chb.2007.01.018
  14. Petty, R. E. and J. T. Cacioppo, Attitude and Persuasion :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Dubuque, Iowa : W. C. Brown Publishers, 1981.
  15. Rook, D. W.,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4, No.2(1987), 189 -199. https://doi.org/10.1086/209105
  16. Stern, H.,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Vol.26, No.2 (1962), 59-62. https://doi.org/10.2307/1248439
  17. Wang, W. and I. Benbasat, "Trust in and Adoption of Online Recommendation Agents", Journal of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6, No.3(2005), 72-101. https://doi.org/10.17705/1jais.00065
  18. Wilkie, W. L., Consumer Behavior(3r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1994.

Cited by

  1. 개인화된 전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객 반응을 고려한 지능형 인터랙티브 시스템 vol.11, pp.2, 2011, https://doi.org/10.9716/kits.2012.11.2.229
  2. 스마트 전시환경에서 부스 추천시스템의 사용자 의도에 관한 조사연구 vol.18, pp.3, 2012, https://doi.org/10.13088/jiis.2012.18.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