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ughters' Mourning Experience from Loss of their Mothers

엄마를 상실한 중년여성의 애도 경험

  • 최승이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17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Over the last 20 years, women's development has been ambiguous. According to Freu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has been consider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women's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mourning experience from daughter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mothers by death offers any meaningful idea to women's life. For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three women who have lost their moth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rawing pictures with each of them.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daughters started to fight with their mothers' death from the moment when they were informed. They also experienced a symbolic death until the moment of their mothers' death and even after the confirmation of their mothers' death. Daughters experienced symbolic death, both emotionally and physically as well as familiar experiences with their mothers through the repeated confirmation of death. However, these experiences encouraged daughters to adapt to the reality that was the absence of their mothers through the processes such as "Reflection," "Living in the Center of My life," and "Another Embrace." Through this new perspective, attempts, and relationships, daughters form a new identity and experience 'rebirth'. These daughters' changes were paradoxically strengthened through their resistances towards changes of reformation of themselves.

Keywords

References

  1. 공성숙.현명선(2002) 섭식장애 환자의 모녀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1(2), 249-259.
  2. 김수지.Ida M.신경림.양순옥(1994) 자녀를 상실한 어머니의 고통체험-Parse의 Human Becoming 방법론 적용. 간호과학 6, 5-31.
  3. 김순남(2009) 성별화된 이혼의 서사-상실의 경험과 새로운 관계 형성의 의미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5(4), 41-72.
  4. 김신옥(2010) 여아가 엄마를 사별한 후에 놀이치료를 통한 애도연구.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지 6(2), 25-65.
  5. 김언주.이경혜(2001) 중년여성의 역할적응에 따른 자아정체감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5(2), 157-176.
  6. 노은아.안창일(2005) 여아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과 관련된 어머니의 요인들-어머니의 섭식장애 위험요인들과 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0(2), 127-144.
  7. 노영주(1996) 여성의 경험으로서의 어머니됨.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 35-55.
  8. 박경복.김분한(2004) 중년남성의 배우자 사별경험. 종양간호학회지 4(2), 143-153.
  9. 박신규(1992) 딸의 체험을 통해본 모녀관계의 성격과 변화: 30대 전문직 여성 사례연구. 여성학논집 9, 244-245.
  10. 서보현(2000)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 역할 수행의 변화 및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영숙(2009) 딸-친정식구 관계 서사민요의 특성과 의미 - 어머니의 죽음을 통한 딸의 홀로서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8, 171-206.
  12. 양복순(2002) 사별한 중년여성에 대한 경험 연구. 질적연구학회지 3(1), 56-64.
  13. 유계숙(1995) 성인 딸과 어머니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2), 78-85.
  14. 윤명숙.김가득(2010)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29, 115-148.
  15. 이근호(2007)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교육인류학연구 10(2), 41-64.
  16. 이기언(2009) 폴 리쾨르: 해석학과 자기 이해. 불어불문학 연구 79, 401-439.
  17. 이서규(2000) 인간과 실존. 대구: 이문출판사.
  18. 이원희.황애란(2003)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의 슬픔단계와 반응. 대한간호 33(6), 847-855.
  19. 이윤주.조계화.이현진(2007) 사별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상담학 연구 8(3), 839-857.
  20. 이재인(2005) 서사유형과 내면세계 : 기혼여성들의 생애이야기에 대한 서사적 접근. 한국사회학회 39(3), 77-120.
  21. 장성금(2010) 가족사별의 상실감 극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에서 드러난 애도단계.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0, 227-264.
  22. 조병은.유은희.이정순.최혜경(1996) 3세대 모녀간의 애착 자율성 발달특성과 심리적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91-201.
  23. 조혜자.방희정(2006) 심포지엄 : 한국 중년여성의 삶과 행복: 중년 여성의 자아 정체성. 한국심리학회 논문집 (2006) 202-203.
  24. 홍기령(2001) 욕망: 모녀관계와 여성 욕망 정체감 : 크리스테바의 욕망이론-그리스 신화: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최윤의 '굿바이' : 아름다운 사람과 그녀. 시학과 언어학 2, 89-115.
  25. 홍기령(2006) 신화적 사유 속의 모녀관계. 아시아여성연구 45(1), 267-294.
  26. Bassin D(1993) Nostalgic objects of our affection: Mourning, memory, and maternal subjectivity. Psychoanalytic Psychology 10(3), 425-439. https://doi.org/10.1037/h0079453
  27. Bowlby J(1988) A secure base: Parents-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 London: Great Britain by Routledge.
  28. Chodorow N(1999)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 psychoanalysis and the sociology of gender.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모성의 재생산. 강문 예숙, 강문순 옮김(2008)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9. Francis, LA, Birch LL(2004) Maternal influences on daughter's restrained eating behavior. Health Psychology 24(6), 548-554.
  30. Freud S(1940) Die Traumdeutung. Frankfurt: Fischer Verlag. 꿈의 해석(개정판). 김인순 옮김(2003) 서울: 열린 책들.
  31. Gilligan C(1982) In a different voice. 심리 이론과 여성의 발달. 허란주 옮김(1994). 서울: 철학과 현실사.
  32. Gold M, Yanof DS(1985) Mothers, daughters, and girlfrien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654-659. https://doi.org/10.1037/0022-3514.49.3.654
  33. Kranz K, Daniluk JC(2002) Gone but not forgotten: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mother-loss for midlife daughters. Women & Therapy 25(1), 1-18. https://doi.org/10.1300/J015v25n01_01
  34. Maharaj S, Rodin G, Connolly J, Olmsted, M, Daneman D(2001) Eating Problems and the Observed Quality of Mother-Daughter Interactions among girls with type 1 diabetes 9.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 (6), 950-958.
  35. Neumann E, Manheim R(1972) The Great Mother.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Richard EP(1980) Hermeneutics: interpretation theory in Schleiermacher, Dilthey, Heidegger, Gadamer. Chicago: Northwest University Press.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이한우 옮김(1990) 서울: 문예출판사.
  37. Schafer R(1997) The Contemporary Kleinians of London. Bost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38. Sherry M, Gary R, Jennifer C, Marion M, Denis D (2001) Eating Problems and the Observed Quality of Mother-Daughter Interactions among girls with type 1 diabetes 9.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6), 950-958. https://doi.org/10.1037/0022-006X.69.6.950
  39. Summers F(1994) Object Relations Theories and Psychopathology. CA: The Analytic Press. 대상관계이론과 정신병리학. 이재훈 옮김(2004)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Cited by

  1. 애도상담자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탐색 vol.18, pp.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602
  2. 외조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조모와 어머니의 보고 중심으로 vol.14, pp.5, 2011,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5.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