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octor's Payment Method on Patient's Medical Care Use: Revisit of the Patient's Asymmetric Information Problem

환자의 의료이용에 대한 의사의 지불방식의 효과: 재방문 환자의 비대칭적 정보의 문제

  • Jo, Changik (Department of Economics, Hallym University) ;
  • Lim, Jae-Young (Departmen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조창익 (한림대학교 경제학과) ;
  • 임재영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Received : 2009.02.03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Although the patient's problem with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has been improved due to rapidly developing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some patients still do not have enough ability to understand, interpret, and analyze the health information. Given this view on the patient's asymmetric information problem, if a doctor provides sufficient effort to help patients understand and interpret medical information, the efficiency of patient's medical care use could be improved. This paper shows firstly that the patient's inefficient use of medical care originates from his information problems, such as the mis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care and secondly suggests that if the doctor makes sufficient effort to correct patient's information problems, the inefficiency can be ameliorated.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manipulation of a doctor's payment method can lead a doctor to provide optimal level of efforts which can in turn lead patients to use the optimal level of medical care. With an optimal level of effort, a doctor can more easily achieve a patient's compliance with the newly recommended amount of medical care.

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환자들의 보건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이는 곧 환자들이 당면하고 있는 보건의료정보의 비대칭 문제, 즉 의료서비스 공급자에 비해 적은 양의 정보를 보유함으로 인해 의료서비스 소비에 있어 그 효율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기존의 주장이 갖고 있는 타당성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할 수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감안해 볼 때, 환자들의 정보비대칭 문제에 있어 핵심적인 사항은 환자들이 획득한 많은 의료정보를 그들의 합리적인 의료서비스 소비를 위해 어떻게 활용하느냐 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료서비스 공급자인 의사가 환자들과의 효과적인 의사교환을 통해 보건의료정보에 대한 환자들의 이해와 효율적인 활용을 도와주고자 노력하는 것은 환자의 의료서비스 소비의 효율성을 증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의사-환자 간 의료서비스 소비에 대한 이론모형 구축을 통해 우선 환자의 비효율적인 의료서비스 이용이 그들의 정보 문제, 즉 의료서비스의 치료효과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됨을 밝혔으며, 두 번째로 의사가 이러한 환자의 정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투입했을 때 환자의 의료서비스 소비에 있어 파레토 효율성이 증대됨을 보였다. 아울러 정책적 관점에서 의사들로 하여금 환자를 상대로 한 충분한 의사교환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방안으로 의사의 지불보상체계가 잘 작동함을 보였다. 즉, 환자의 진료비에 대한 의사의 책임 부분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의사의 진료상의 노력이 충분히 증가함을 이론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