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tr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Specimens in School Rock Gardens in Jeonju, Korea

전주시 학교 암석원에 전시된 표품에 대한 암석학적 고찰

  •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The Institute of Fus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융합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1.01.25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effective teaching of Earth Science in the classroom should be augmented by field studies of rocks and minerals in a competently designed school rock garden(SRG). The displayed specimens must be correctly identified, labeled and esthetically evaluated. SRG is more than a general garden with just landscaping and it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freedom of conducting independent inquiries. The composition of the selected specimens should be representative of the bedrocks of region as well as of Korea in general. There are 130 schools in Jeonju-city and 35 (26.9%) have established rock gardens. There is a pressing demand for more gardens and number of display samples in school. The existing displays need improvement because some samples are not correctly identified and labeled. In addition, there is a duplication of rock types as well as lack of important rock types. The number and composition of the displayed rocks and minerals should be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reflect representative bedrocks of Jeonju-city and region.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암석과 광물에 대한 지구과학 수업은 잘 설계된 학교 암석원에서 암석과 광물 표품의 야외 조사를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암석과 광물 표품은 바르게 감정되고 표시되고 설치되어야 한다. 암석원은 조경 차원에서가 아니라 학생들이 자유롭게 탐구 할 수 있어야 한다. 선정된 표품의 구성은 그 지역의 전형적인 기반암 뿐 만 아니라 한국의 대표 시료여야 한다. 전주시 초 중 고등학교 130개 학교 중 암석원이 설치된 곳은 35개교로 26.9%에 해당된다. 암석원이 설치된 학교가 늘어야하고 전시된 표품 또한 증가해야한다. 현재 설치된 암석원도 다음과 같은 사항이 개선되어야 한다. 어떤 표품은 암석이 잘못 감정되어 안내되고 있다. 어떤 암석은 이중으로 전시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중요한 암석이 누락돼 있다. 전시되는 암석과 광물의 구성과 수는 교육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어야 하고 그 주변의 대표적인 기반암이 반영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범, 1989, 안동지역의 학교 암석원에 대한 문제점 고찰. 안동문화총서, 안동대학 안동문화연구소, 1, 209-221.
  2. 김경식, 2005, 테마 중심 체험학습장 운영을 통한 관찰 탐구력 기르기. 충청북도교육청, 청주, 150 p.
  3. 박경섭,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암석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p.
  4. 박로철, 1981, 암석원의 합리적 시설과 활용방안. 연구월보, 171, 37-39.
  5. 박세근, 1975, 교육과정에 직결되는 교재원 조성 방향과 실제. 전라북도 교육연구원, 전주, 181 p.
  6. 신진탁, 1973, 전북지방을 중심으로 한 암석원 설치 자료. 연구월보, 113, 38-40.
  7. 위수민, 최준경, 2002, 고등학생들의 광물과 암석에 대한 흥미도.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25-631.
  8. 조규성, 정덕호, 정주상, 2007, 석조문화재를 활용한 야외학습장 및 수준별 탐구학습 자료개발-금산사 석탑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1, 92-99.
  9. 한영욱, 심재윤, 2005, 초등학교 암석원의 실태분석 및 암석 단원 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 모색.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7, 59-78.
  10. Calderone, G.J., Thompson, J.R., Johnson, W.M., Kadel, S.D., Nelson, P.J., Hall-Wallace, M., and Butler, R.F., 2003, GeoScape: An instructional gock garden for inquiry-based cooperative learning exercises in introductory geology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1, 171-176. https://doi.org/10.5408/1089-9995-51.2.171
  11. Teasdale, R., Marcum, B., and Heaston, T., 2008, Teaching rocks and minerals in the hands on lab: A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 for pre-credential undergraduates at CSU Chico.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6, 401-407. https://doi.org/10.5408/jge_nov2008_teasdale_401
  12. Wilson, D.C. and Montbriand, T., 2008, Rocks of Mohave County, Arizona: An educational landscape display.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6, 126-130. https://doi.org/10.5408/1089-9995-56.2.126

Cited by

  1.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Rock Specimens used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vol.33, pp.1, 2012, https://doi.org/10.5467/JKESS.2012.33.1.82
  2.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ol.35, pp.6,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6.467